PDF문서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pdf

닫기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

2018-02-19   오전 11:11:59


background image

제2판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background image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2

2018-02-19   오전 11:11:59


background image

발   간   사

대학생이 되면 아르바이트나 인턴, 취업 등의 소득활동을 하면서, 각종 카드사용·계좌

이체·대출·여행자보험·환전 등의 금융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

하기 전이지만 성인으로서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역량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학 입학 전에는 입시준비에 바쁘고, 입학 후에도 전공공

부와 취업 준비에 매진하느라 금융정보나 지식을 습득할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상경계열

이나 금융권 취업 준비생을 제외하고는 막연히 금융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멀리하려는 학생

들도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대출금이나 카드대금을 갚지 못하여 채무불이행자가 되거나 금

융범죄 또는 금융사기의 타깃이 되어 큰 피해를 입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대학생들의 금융역량을 강화하고자 

2015년 12월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제1판)』을 발간하였고, 

2016년부터 동 교재로 실용금융 교육을 시작하였습니다. 지난 

2년간 전국 약 100여 개 대학에서 14,000여 명의 대학생들이 실용금융 교육을 받았는데, 대

다수가 강의 내용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감 중에는 “내가 들은 대학 강의 중, 인

생에 가장 도움이 될 것 같다”는 내용도 있어 매우 보람 있는 교육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금융과 

IT가 결합한 디지털 뱅크, 핀테크 등의 새로운 금융서비스가 출현하고 있고, 

기존의 금융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새로운 투자 대상이나 기법이 주목을 받는 등 금융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급변하는 디지털 금융시대에 현명한 금융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용적이고 시의성 있는 금융지식과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에 기존의 교재를 대폭 보완하여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제

2판을 발간하게 되었습

니다. ‘신기술과 금융의 변화’ 단원을 신설하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핀테크 내용을 소개하

고, 투자자의 자기책임 원칙이나 금리인하요구권 등 금융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보다 직접적

으로 관련 있는 내용을 단원별로 보완하였습니다. 무엇보다 금융사례를 통해 단원별 금융

학습을 시작할 수 있도록 ‘생각열기’를 신설하여 금융이 바로 나의 문제, 혹은 내 이웃의 문

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무쪼록 본 교재가 대학생들이 금융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가 

되어, 대학생활은 물론 사회진출 후에도 건전하고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영위하는 데 일조

하기를 바랍니다. 

2017년 12월

금융감독원 원장

iii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3

2018-02-19   오전 11:12:02


background image

머   리   말

인생을 살다보면 많은 문제에 직면한다. 그중에 필연코 만나는 것이 돈과 관련된 문제이

다.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어디에 쓸 것인가? 얼마나 저축할 것인가?” 등 반드시 풀어야 

할 금융문제를 맞닥뜨리게 되는데, 이때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금

융이해력(Financial Literacy)이 필요하다. 금융이해력이란 자신의 재무적 행복을 위해 금융지

식과 관련 기능 등을 잘 갖춰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금융이해력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2016년에 발표한 「전국민 금융

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20대의 금융이해력은 백점 만점에 61.8점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낮

은 수준이다. 특히, 저축보다는 당장의 소비를 선호하였고, 예금자보호제도나 투자상품의 

원금손실 가능성에 대한 이해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막 성인이 되어 금융거래

경험이 적기 때문이겠지만, 대학생이 되면 학자금대출, 카드거래 등 본격적인 금융생활을 

시작하게 되고, 곧 사회에 진출하여 다양한 금융거래를 하게 될 것이므로 금융이해력 수준

을 높일 필요가 있다. 

문제는 금융이해력이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금융학습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현재 금융은 초·중·고교에서는 합리적인 소비 등 일부분

만 교육되고 있을 뿐 금융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금융감독원

이 

2015년부터 금융회사와 초·중·고교가 자매결연을 맺는 ‘1사1교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금융교육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충분치 않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2016년부터 희망 대학교에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강좌와 교양과

목 등으로 개설될 수 있도록 교수, 교재, 교수자료 등을 전폭 지원하는 등 대학생을 위한 금

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 마지막으로 체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인 대학교를 통해 실제 금융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

함이다. 

본 책은 실용금융 강좌의 기본서로 활용될 목적으로 

2015년에 첫 집필되었고, 지난 2년

의 금융시장의 변화를 반영하고, 부족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개정된 교재이다. 경영·

경제 등 금융관련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성인으로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문제의 특

성과 해결책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최소한의 중요한 정보는 본문에 기술하였고, 다소 이론

적이거나 난이도가 있는 내용, 구체적인 사례 등은 ‘들여다보기’로 편재하였다. 이를 통해 

교양 수준에서 필요한 ‘실용금융’의 내용을 제시하면서도 심화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이 별도

의 자료탐색 없이 본 교재만으로도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iv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4

2018-02-19   오전 11:12:04


background image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금융이 경제에서 어떤 역할을 담

당하고 있는지와 금융의 구조와 속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제

3장은 자산

관리의 가장 기초가 되는, 소득과 소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저축의 가치를 따지는 방법

을 소개하고 있으며, 저축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저축상품에 대해 기술

하였다. 제

4장과 제5장은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는 투자 상품의 기본개념과 특성을 다루고, 

주식·채권·펀드·파생상품 등 자본시장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상품의 내용을 설명하였

다. 또한 자기 책임 하에 신중하고 합리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마지막 부분에 투자시 유

의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제

6장과 제7장에서는 현대 금융인의 제3의 자산인 ‘신용’을 

잘 관리하는 방법과 부채관리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최근 신용불량자, 고금리대출 등의 

문제가 심각한데 아직 충분한 소득이나 자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학생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단원이라고 할 수 있다. 

8장은 다양한 삶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보험 활용방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제9장에서는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한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후준비의 필요성과 방법을 간단하게 

소개하였다. 제

10장은 대학생들이 보다 가까운 장래에 실천할 수 있는 재무설계 방법과 미

혼기의 돈 관리 방법 등을 설명하였고, 제

11장은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정보기술로 인

한 금융환경 및 상품의 변화를 다루었다. 핀테크로 명명되는 새로운 금융서비스 및 상품의 

개발은 향후, 대학생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제

12장은 금융소비자를 위한 다양한 보호 제도와 최근의 금융소비자 보호 이슈를 

소개하고, 피해예방법 등을 안내하였다.  

책을 집필하면서 나름대로는 실용적인 내용에 초점을 두고 쉽게 풀어내려고 노력하였으

며, 불충분한 설명으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념의 설명에도 충실하려고 했다. 『대학생

을 위한 실용금융』 교재가 금융소비자인 대학생이 금융사기 및 피해를 예방하고, 나아가 윤

택한 삶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금융소비자의 합리적이고 올바른 금

융선택은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건전성 도모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여러분이 교양 있는 글로벌 금융시민으로 현대 사회를 살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

는 나침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7년 12월

저 자 일 동

v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5

2018-02-19   오전 11:12:04


background image

  경제의 순환과 금융   ···········································  3

 국민경제의 순환•3 

 경제의 순환과 금융•5 

 금융의 기능•6

  주요 금융지표   ···············································  10

 금리(이자율)•10  

 환율•14 

 주가•18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2

CHAPTER

  금융상품   ···················································· 27

 금융상품의 종류•27 

 금융상품 한눈에•29

  금융시장   ···················································· 31

 금융시장의 구성•31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31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32

 발행시장과 유통시장•33 

 거래소시장과 장외시장•33

  금융회사   ···················································· 34

 금융회사의 종류•34 

 은행•36

 비은행 금융회사•38 

 보험회사•39

 금융투자회사•40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

CHAPTER

차       례

vi

차   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6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  금융유관기관    ··············································· 42

 금융감독원•42  

 한국은행•43

 예금보험공사•44  

 신용회복위원회•45

 전국은행연합회•46 

 생명보험협회•46

 금융투자협회•46  

 여신금융협회•46

 서민금융진흥원•47

저축의 이해

3

CHAPTER

  소득, 소비, 저축   ············································· 54

 소득과 경제활동•54 

 소비와 저축•55

 저축과 투자•57

  저축의 가치   ················································· 59

 저축과 이자•59  

 저축과 인플레이션•62

 저축과 세금•63

  저축상품   ···················································· 63

 저축상품의 개요•63 

 요구불예금•65

 저축성예금•66  

 저축상품 선택시 고려사항•68

  예금자보호제도  ·············································· 70

금융투자의 이해

4

CHAPTER

  투자의 기초   ················································· 75

 투자의 가치•75  

 투자 수익률•77

 투자의 위험(risk)•79 

 금융투자상품 투자 과정•83

차   례

vii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7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  주식 투자   ··················································· 87

 주식의 개념•87  

 주식의 발행과 유통•89

 주식 거래 방법•91

  채권 투자   ··················································· 94

 채권의 개념•94  

 소액채권거래제도•98

 특수한 형태의 채권•99

  증권 분석   ·················································· 102

 증권의 투자가치 분석•102     기업정보•104

 재무비율 분석•107 

   주가배수 평가•110

다양한 투자상품과 투자 유의사항

5

CHAPTER

  펀드   ······················································· 117

 펀드란?•117  

 펀드의 유형•120

 펀드투자시 유의사항•123

  장내파생상품    ·············································· 125

 선물계약•126  

 옵션계약•129

  구조화 상품   ················································ 132

 구조화 상품의 개념•132 

 구조화 상품의 특징•133

  금융투자상품 투자시 유의사항    ······························ 133

 투자 위험에 대처하는 방법•133   

 불공정거래에 빠지지 않기•135

 손실과 손해는 다름을 이해하기•136

viii

차   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8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신용관리

6

CHAPTER

  신용의 의미와 중요성   ······································· 141

  신용정보와 신용등급의 결정   ································· 142

 신용정보•142  

 신용정보의 수집•143

 신용평가•145

  신용관리   ··················································· 146

 신용관리방법•146 

 연체시 대처방법•149

  신용카드 활용법   ············································ 153

 신용카드의 유형•153 

            신용카드 할부거래•154

 해외에서 신용카드 사용방법•157    신용카드의 기타 서비스•158

 신용카드 분실 및 도난•159

부채관리

7

CHAPTER

  부채의 개념과 중요성  ········································ 165

 부채의 개념•165  

 부채의 발생 요인•165

  대출 활용방법   ·············································· 167

 대출기관•167  

 대출상품의 종류•168

 대출금리•171  

 서민과 대학생을 위한 대출제도•175

  부채관리와 대출상환········································· 177

 부채현황 파악하기•177 

 부채상환계획 수립하기•178

 부채상환 원칙•179

  불법채권추심에 대한 대응 ···································· 180

차   례

ix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9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위험관리와 보험

8

CHAPTER

  위험의 이해  ················································· 187

 위험의 개념과 구분•187 

 일상생활속의 위험•187

 위험의 측정•189  

 위험의 관리•190

  보험의 이해  ················································· 193

 보험의 개념•193  

 보험의 기능•195

  보험의 기초  ················································· 196

 보험료와 보험금•196 

 보장기간과 납입기간•196

 정액보상과 실손보상•197   보험계약자 등•197

  보험의 종류  ················································· 199

 사회보험과 민영보험•199   생명보험•202

 손해보험•204  

 제3보험•209

  보험의 활용  ················································· 215

 보험가입채널•215  

 보험가입시 고려할 사항•217

노후와 연금

9

CHAPTER

  고령화 사회 ················································· 227

 기대수명•228  

 건강수명과 행복수명•229

 고령사회의 그늘•230

  노후에 발생하는 위험 ········································ 231

 질병위험•231  

 경제적 위험•232

 고독의 위험•234

x

차   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0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  노후준비 ···················································· 234

 연금의 활용•234  

 질병보험 등의 활용•243

재무설계의 기초

10

CHAPTER

  재무설계란?  ················································ 251

  재무설계의 과정 ············································· 253

 재무목표 설정•253    재무상태 분석•254

 목표달성을 위한 대안 모색•257 

 재무행동 계획 실행•259

 재무생활의 평가와 수정•259

  미혼기 재무설계 ············································· 260

 주요 재무목표•261 

 미혼기 돈 관리 원칙•263

신기술과 금융의 변화

11

CHAPTER

  핀테크란 무엇인가?  ········································· 271

 핀테크의 개념•271 

 핀테크 발전 배경•273

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 ········································ 277

 분산원장기술과 가상통화•278 

 크라우드펀딩•279

 AI, 빅데이터와 로보어드바이저•281 

 보안·인증기술과 간편 결제•282

  핀테크의 발전과 삶의 변화 ··································· 285

 핀테크의 발전과 기대효과•285 

 핀테크 발전의 위험요소•287

차   례

xi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1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금융소비자보호

12

CHAPTER

  금융소비자보호 개요········································· 293

 금융소비자보호의 의의•293

 금융소비자보호와 자기책임의 원칙•295

  사전적 금융소비자보호  ······································ 296

 영업행위 규제•296 

 금융상품 약관 규제•299

 금융정보의 제공•301 

 금융교육•303

  사후적 금융소비자보호  ······································ 306

 금융민원•307  

 금융분쟁조정제도•309

  금융소비자 관련 주요 이슈 ··································· 313

 금융상품 불완전판매•313   개인정보보호•314

 금융사기 피해 방지•316

xii

차   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2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표 2-1  거래소 시장 : 주식의 거래 규모(유가증권시장) ··························· 34

표 2-2  우리나라의 금융회사 현황  ············································ 35

표 2-3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업의 종류  ······································ 40

표 3-1  우리나라 평균 월소득 현황 ············································ 54

표 3-2  21세기 가치관의 변화 ················································ 55

표 3-3  금리 수준에 따라 30년 후 5억원을 모으기 위해 필요한 월 저축액  ··········· 58

표 3-4  원금 5억원을 20년간 매월 일정금액을 인출할 때 금리에 따른 인출가능금액 ···58

표 3-5  MMDA, MMF, CMA 비교 ············································· 65

표 3-6  예금은행 평균 예금금리 ·············································· 66

표 3-7  지역별 청약가능 예치금 ·············································· 67

표 3-8  예금자보호 대상 금융상품과 비보호 금융상품  ··························· 71

표 4-1  거래소 주식 매매거래 시간 ············································ 92

표 5-1  펀드의 종류와 유형 ················································· 120

표 5-2  투자대상에 따른 펀드의 유형 ········································· 121

표 5-3  종류형펀드의 유형 ·················································· 122

표 5-4  국내 대표적 펀드평가회사 및 홈페이지  ································ 125

표 5-5  불공정 거래의 유형 ················································· 135

표 6-1  신용등급에 따른 이자비용 차이 ······································· 142

표 6-2  개인 신용정보  ····················································· 143

표 6-3  신용정보집중기관 및 관리 내용 ······································· 144

표 6-4  개인신용등급별 의미 및 특징 ········································· 145

표 6-5  채무조정제도의 종류 ················································ 152

표 7-1  은행 대출시 사용하는 주요 기준금리  ·································· 171

표 7-2  상환방법에 따른 실질이자율의 차이 ··································· 173

표 7-3  대학생·청년을 위한 기타 대출제도 ··································· 177

표 7-4  부채현황(예시) ····················································· 178

표 8-1  위험의 속성에 따른 위험 관리방법  ···································· 190

표 8-2  보험업법상의 보험업의 구분  ········································· 201

표 8-3  연도별 교통사고 현황 ··············································· 206

표 8-4  자동차보험의 보장항목 ·············································· 207

표·그림 차례

차   례

xiii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3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표 8-5  운전자보험과 자동차보험의 주요 특성 비교  ···························· 211

표 8-6  국내여행보험의 보험상품 ············································ 212

표 8-7  일반적인 암보험의 주요보장 내용 ····································· 213

표 8-8  보험상품 종류별 총 납입보험료(예시)  ································· 217

표 8-9  보험료지수(예시) ··················································· 218

표 8-10  갱신형 보험상품과 비갱신형 보험상품의 비교  ························· 220

표 9-1  주요 질병의 65세 이후 1인당 생애의료비 ······························· 232

표 9-2  응답자 특성별 주관적 필요 최소 노후생활비 및 적정 노후생활비  ·········· 233

표 9-3  국민연금 수령 개시 시점  ············································ 236

표 9-4  노후자금의 과부족 산출하기  ········································· 241

표 9-5  치매보험의 상품별 보장방식  ········································· 245

표 10-1  인생 주기별 재무목표 ·············································· 253

표 11-1  전자금융과 핀테크 비교  ············································ 272

표 12-1  2016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  ································· 304

표 12-2  개인정보의 유형과 예시  ············································ 315

그림 1-1  자금의 산업적 유통과 금융적 유통  ···································· 6

그림 1-2  가계부채 증감 ······················································ 9

그림 1-3  금리 결정  ························································ 10

그림 1-4  주요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 ·········································· 12

그림 1-5  주가지수 추이와 경기변동  ·········································· 19

그림 2-1  금융투자상품의 분류 ··············································· 28

그림 2-2  물가안정목표 및 대상물가지표 상승률 ································ 43 

그림 2-3  예금보험의 운영구조 ··············································· 44

그림 3-1  기간에 따른 단리와 복리 비교 ······································· 61

그림 3-2  이자율에 따른 단리와 복리 비교  ····································· 61

그림 4-1  분산투자와 투자위험 ··············································· 81

그림 4-2  표준투자권유준칙상의 프로세스 ····································· 84

그림 5-1  펀드의 구조  ····················································· 118

xiv

차   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4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그림 8-1  남녀별 사망원인 순위(2015년) ······································ 188

그림 8-2  변액보험상품의 보험료 흐름  ······································· 203

그림 8-3  손해보험협회 과실비율 어플의 화면 ································· 208

그림 8-4  실손의료보험의 상품구조 ·········································· 214

그림 8-5  ‘내보험 다보여’ 사이트  ············································ 222

그림 9-1  연령대별 인구 구성비 ············································· 227

그림 9-2  기대수명 ························································ 228

그림 9-3  성별 기대수명 추이 및 전년대비 증감, 1970-2015년 ···················· 229

그림 9-4  3층 연금체계····················································· 235

그림 9-5  퇴직연금제도  ···················································· 237

그림 9-6  주택연금의 상품구조 ·············································· 239

그림 9-7  연금의 선택  ····················································· 242

그림 9-8  우리나라의 연령대별 치매유병률  ··································· 244

그림 10-1  인생주기별 소득·지출 변화  ······································ 252

그림 10-2  재무설계의 과정 ················································· 260

그림 11-1  산업혁명의 단계별 특징  ·········································· 274

그림 11-2  디지털 기술과 금융서비스의 관계 ·································· 277

그림 11-3  알리페이의 지급방식 ············································· 283

그림 11-4  핀테크 발전의 기대효과와 위험요소 ································ 289

그림 12-1  금융민원 상담 절차도  ············································ 307

그림 12-2  금융분쟁조정 처리 절차  ·········································· 311

차   례

xv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5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0머리말,차례ok.indd   16

2018-02-19   오전 11:12:05


background image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01

01 경제의 순환과 금융
02 주요 금융지표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먼저 경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순환하는지 살펴보고, 경제의 원활한 순환을 위해 금융이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금리, 주가, 환율 등 주요 금융지표의 의미와 이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경제정보를 학습한다.

 실물경제와 금융의 연관성을 통해 금융의 다양한 기능을 이해한다.
 금리, 환율, 주가 등의 금융변수가 내포하고 있는 정보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학습개요

학습목표

01

美금융위기 후폭풍...실물경제 침체 확산

앵커    미국은 금융위기가 실물 경제 침체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두 번째 가는 가전제품 유통업체가 사실상 파산했고, 글로벌 기업의 대규모 

감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윤양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텔레비전과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유통하는 미국 2위의 업체 서킷시티가 

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에  천5백  개  가까운  매장을  갖

고 있는 서킷시티는 다른 유통업체와의 경쟁이 심해진 데다 최근 소비자

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큰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서킷시티의 자산은 34

억달러,  채무는  23억달러이고  이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납품  대

금도 포함돼 있어 피해가 우려됩니다. 업계는 앞으로도 경기침체의 직격

탄을 맞은 소매유통업체의 파산과 폐업이 잇따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자동차 회사들에 대한 비관적 전망도 확산되면서 GM의 목표주가가 휴

지조각과 다름없는 ‘0달러’로 제시됐습니다. 실물경제 타격이 확산되자 독일

의 도이체 포스트가 소유한 택배회사 DHL은 미국내 배달망을 없애고 대규

모 감원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아펠(도이체 포스트 대표) “우선 5천5백명을 감원하기로 했고, 9천명 정도를 

추가로 감원할 예정입니다.”

C

H

A

P

T

E

R

생각

열기

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1

국민경제의 순환

경제활동은 경제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지출하는 활동

을 말한다.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제활

동을 하는데, 재화는 의복, 식료품, 주택 등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서비스는 

교육, 문화, 관광 등 정신적 욕망을 채워주는 행위이다. 또한 서비스는 도소매, 

운수, 통신, 공무 등 비물질 생산에 기여하는 행위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주된 주체는 기업이다. 기업은 이윤을 극대

화하기 위해 신제품 개발, 기술혁신, 신시장 개척, 설비투자 등 혁신적인 활동을 

하고, 결국 이러한 활동이 경제성장을 이끌게 된다. 특히 장기성장은 기업 혁신에 

의해 주도되므로 기업의 역할은 국민경제의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무엇보다 다

가오고 있는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내기 위

해서는 기업의 혁신적인 활동이 중요하다. 

리포트    미국  최대  통신장비회사인  노르텔이  천3백명을  줄이기로  했고,  이미 

15만명을  감원한  월가에서는  내년까지  7만명이  더  일자리를  잃을  것

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기업들이  무더기  감원에  나서면

서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은  14년만에  최고치인  6.5%를  기록했습니다. 

소비위축이 대량 감원사태를 불러오고 소득감소가 다시 소비위축으로 이어

지는 악순환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양균입니다. 

[KBS news, 2008.11.11, 윤양균 기자]

 금융위기가 실물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금융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는 금융지표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경제의 순환과 금융

01

SECTION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3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기업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노동력,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가 

필요하다. 이를 투입하기 위해 기업은 생산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을 가계에 배분

하는데, 근로자에게는 임금, 급여 등의 형태로 배분하고, 자본가에게는 이자, 배

당금, 임대료 등의 형태로 배분한다. 또한 법인세 등의 형태로 정부에 납부도 한

다. 기업으로부터 임금이나 급여를 받은 가계는 소득과 부에 대해 소득세, 재산세 

등을 정부에 납부하며 소득세, 재산세, 법인세 등의 형태로 정부로 배분된 자금 

중 일부는 정부보조금, 수혜금의 형태로 가계에 이전된다. 이렇게 경제 내에서 생

산된 소득은 가계, 기업, 정부로 각각 배분된다.

기업으로부터 소득을 배분받는 가계와 정부는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기 위한 

지출활동을 한다. 가계는 임금, 배당, 이자 등 소득을 이용하여 자동차, 가구, 주

택 등 내구재 또는 음식, 의복 등 비내구재에 대해 지출한다. 또한 영화를 보기도 

하고 여행을 떠나거나 학원을 다니면서 서비스에 대한 지출을 하기도 한다. 정부

는 세금을 이용하여 행정, 국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도로, 항만, 공항, 철

도 등 공공인프라 건설 및 유지에 지출한다. 

이렇게 국민경제활동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생산에서 분배로, 

분배에서 지출로, 지출에서 생산으로 이어지며 순환을 하게 된다. 기업이 상품을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그 상품에 충분한 수요가 있어야 하고, 가계와 정부가 상품 

등을 수요하기 위해서는 지출을 위한 충분한 소득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국민경제의 순환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와 같

은 개방경제는 생산, 분배, 지출 활동에 있어서 해외부문의 역할이 매우 크다. 우

리나라 기업이 생산한 생산물을 외국으로 수출하고 석유, 식량, 원자재 같은 것들

은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이다. 특히 스마트폰, 자동차, 텔레비전, 그리고 선박

과 같은 상품들은 우리 기업이 생산하였지만 우리 국민이 소비하는 것보다 외국

에 수출하는 양이 더 많다. 외국에서 인력이나 자본이 유입되기도 하는데, 중소제

조업, 건설업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교육, 경영 등의 분야에 외국인력이 상

당수 종사하고 있으며, 주식시장, 채권시장뿐만 아니라 직접투자 등을 통해 외국

자본이 우리 경제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유입규모는 금융시장 개방이 확대되

면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양상이다.

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경기는 확장국면과 수축국면을 거치면서 순환을 하게 된다. 경기순환은 저점에서 확장

국면을 지속하다가 고점을 거친 후 수축국면에 들어간 다음 저점에 이르면 한 번의 경기

순환을 한 것으로 간주한다. 

우리나라는 1972년 이후 지금까지 11번의 경기순환이 있었다. 지금은 2013년 3월부

터 시작된 제11순환기의 확장국면에 있다. 1972년 이래 우리나라의 확장기는 평균 31개

월이었고, 수축기는 18개월이었다. 보통 확장기가 수축기보다 더 길다. 가장 긴 확장기는 

제2순환기였으며, 가장 긴 수축기는 제6순환기였다. 

저점

저점

정점

확장국면

수축국면

순환주기

순환진폭

들여다보기

경기순환

2

경제의 순환과 금융

경제의 순환은 자금의 융통, 즉 금융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금융기업이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기계를 구입하고 인력을 고용하며 원자재를 구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자본을 조달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이 사내에 보유하고 있는 자

본이 이러한 생산 활동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부족한 자금을 은행 등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거나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을 발행해야 한다. 기업이 

가계와 정부에 소득을 분배하고 가계가 정부에 세금을 납부하는 것도 금융의 도

움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경제발전 단계가 낮고 금융시장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

거에는 현금거래만으로도 분배가 완료될 수 있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수많은 거

래나 지급·결제가 금융을 통하지 않으면 완료될 수 없다. 

한편 생산·분배·지출과 같은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각 경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5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제주체 간에 일어나는 거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돈의 양이 충분해야 하고 돈의 흐

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금융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어야 한다. 선진국들은 생산물

의 크기도 크지만 경제활동을 뒷받침하는 금융시장도 잘 발달되어 있는 데 비해

서 개발도상국들은 상대적으로 생산성도 낮고 금융시장도 낙후되어 있다.

 

3

금융의 기능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

을 하는 것이 금융이다. 그리고 금융시장은 자금을 공급하고자 하는 자와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간에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그러나 이때의 장소는 

재래시장, 편의점, 마트처럼 지역이나 건물과 같은 특정한 공간뿐만 아니라 자금

의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가상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금융시장에서의 거래는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를 이어주는 매개수단이 필요한데 이러한 매개수단을 

금융상품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상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자금을 은행에서 인출

하기도 하고 집이나 자동차를 살 때는 펀드를 해약하거나 다른 자산을 매각하기

도 한다. 또한 신용카드를 사용하거나 대출을 통하여 돈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

출처 : 한국은행,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그림 1-1   자금의 산업적 유통과 금융적 유통

소득

상품·서비스

소비

노동력 등 생산요소의 공급

지급

대출

기업

금융기관

가계

상업적

  유통

금융적

  유통

예금

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때 현금, 신용카드, 대출을 제공하는 것이 금융회사이다. 국내에서의 소규모 거래

에는 별도로 금융회사가 필요없지만 대규모 거래나 국제 거래에는 반드시 금융회

사의 도움이 있어야 거래에 필요한 결제가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금중개 기능

금융은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의 돈을 모아서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 전달하

는 중개기능을 수행한다. 사람들이 금융회사에 저축을 하면, 금융회사는 이 돈을 

모아서 돈이 필요한 가계, 기업 그리고 정부에 빌려주고, 대출로부터 발생한 이자

수익을 저축자들에게 배분하는 것이 전형적인 자금중개 형태였다. 그러나 금융시

장이 발달함에 따라서 채권이나 주식을 통한 금융 중개도 활발해졌다. 정부나 기

업이 국채나 회사채를 발행하면 금융회사가 이런 채권을 인수하여 저축자나 투자

자에게 판매하는데 이 경우도 흑자 주체로부터 적자 주체로 자금 이동을 중개하

는 것이다. 

금융회사들은 자금 중개를 위해서 돈을 빌리는 사람의 신용도를 평가하기도 하

고 돈을 저축하는 사람들과 돈을 빌리는 사람 사이에서 가격(이자율)을 조정하기도 

한다. 또 자금의 만기나 크기를 재조정하여 자금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돕고 있

다. 따라서 금융의 자금중개 기능은 자금의 효율적인 배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

에 거시적인 차원에서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거래비용 절감 기능

역사적으로는 물물 교환을 한 적도 있지만 현대사회의 수많은 결제는 금융의 

도움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우리가 신용카드로 물품을 구입하는 것도, 인터넷 뱅

킹이나 모바일 뱅킹을 이용하여 송금하는 것도, 자동이체 서비스로 매달 아파트 

관리비를 내는 것도 모두 금융을 통한 거래 행위이다. 이제는 멀리 떨어진 사람과

의 거래, 외국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건을 직접 구매하는 거래, 사용하는 화폐가 

서로 다른 거래에 대한 결제도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

서 현금은 물론이고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자상거래, 가상화폐와 같이 수많은 결

제수단이 등장하였다. 금융은 안전하고 편리한 지급·결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거

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금융은 금융거래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여준다. 금융기능이 없다면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7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은 돈을 빌려주거나 저축할 곳을 찾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

이 필요할 것이고 반대로 자금이 필요한 사람들도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곳을 찾

아 다녀야 한다. 금융시장도 일반시장처럼 수요자와 공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금융거래 비용과 시간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가계에 자산관리수단 제공 기능

가계는 실직 등으로 고용상태가 변할 수 있으며 임금상승률도 매년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소규모 사업체를 영위하는 자영업자의 경우에는 경기상황에 따른 매

출의 증감이 상당하기 때문에 임금근로자에 비해 소득변동성이 더 높다. 반면에 

지출은 대체로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득과 지출의 차이는 금융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 지출에 비해 소득이 많을 때에는 금융은 저축수단을 제공하고, 

소득에 비해 지출이 많을 때에는 금융은 대출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소득과 지출간

의 불일치를 해소시켜 준다.

2014년 이후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가계부채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가

고 있다. 가계부채가 늘어난 것 자체만으로 가계부채가 위험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

지만 가계부채 증가는 다음과 같은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우선 가계가 적정수준을 넘어선 과다차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자신의 소득

수준에 맞는 주택 구입을 위해 대출을 해야 함에도 주택가격의 상승을 기대하면 자신의 

소득수준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과다한 대출로 주택을 구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소득

수준에 비춰볼 때 20평대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이 적정한 가계가 30평대 또는 40평대 아

파트를 구입하는 것이다. 

또한 가계부채는 경제적 충격을 증폭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저축

이나 대출상환을 통한 순자산증대가 모두 유사한 금융행태이지만, 실직, 소득감소, 의료

비지출 등의 예기치 못한 경제적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저축과 대출은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저축은 실직이나 의료비 지출 등의 충격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재원으로 즉각 전환되므로 일종의 충격 완충장치(buffer)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대출은 실

직 등으로 소득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이자나 원금상환이 계속 필요하며 그 부담은 상대적으

로 커지므로 소비를 위축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경제적 충격은 더욱 증폭될 수 있는 것이다. 

들여다보기

가계부채, 무엇이 문제인가? : 과다채무와 경제적 충격의 증폭

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

2018-02-19   오전 11:13:40


background image

투자기회 제공 기능

금융은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에게 투자의 기회를 제공한다. 많은 소액 저축

자들의 돈을 모아서 대규모 투자를 가능하게 하거나 단기간 저축하는 사람들을 

많이 모아서 장기간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돈을 공급해줄 수 있는 것은 모

두 금융시장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금융시장은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에

게는 투자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자금을 공급하여 효율적

인 자원배분에 기여한다.  

위험관리수단 제공 기능

금융시장은 투자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관리수단을 제공한다. 경제학에서 

위험(risk)은 경제현상이나 결과가 예상이나 기대와 달라지는 것을 말하는데 금융

이 잘 작동하면 불확실성이나 위험을 적절히 분산하거나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

면 가계는 금융시장에 판매되는 다양한 금융상품에 분산투자하거나 옵션이나 선물

과 같은 파생상품을 위험관리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투자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

한 금융은 비슷한 위험(danger)에 처한 사람들에게 보험을 제공함으로써 위험으로부

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보험에 가입함으로써 사고 등으로 인해 손해 등

이 발생해도 가계나 개인은 지급되는 보험금을 통해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림 1-2   가계부채 증감

(단위 : 전년동분기대비, 조원)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2017년)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9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9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주요 금융지표

02

SECTION

1

금리(이자율)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여유자금을 금융회사에 저축이나 투자하고 반대로 돈

이 부족하면 대출을 받기도 한다. 이때 돈을 빌린 사람이 일정기간 돈을 사용한 

대가로 돈을 빌려준 금융회사에 지급하는 것을 이자라고 하며, 기간당 원금에 대

한 이자의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이자의 크기는 기간에 따라 달라지

기 때문에 이자율을 표시할 때는 기간을 명시하게 되는데, 보통 

1년을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자율 

5%로 1년간 100만원을 대출받는다고 하면, 돈을 빌린 채

무자는 채권자에게 

5만원의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금리의 결정

상품시장에서 상품의 가격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원리와 마찬가지로 

금리도 금융시장에서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자금에 대한 수요는 

가계소비, 기업투자 등에 영향을 받고 자금의 공급은 가계의 저축행태, 한국은행

의 통화정책 등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자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변하면 금리가 

변동하게 된다. 즉 자금수요가 증가하면 금리는 상승하고 반대로 자금공급이 늘

그림 1-3   금리 결정

자금의 수요

자금의 공급

자금량

금리

균형 금리

균형 자금량

1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0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어나면 금리가 하락한다. 예를 들면 경기가 상승하면 기업들은 생산과 고용을 늘

리고 시설을 확장하기 위하여 자금을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자금의 공

급량이 충분히 늘어나지 않으면 더 높은 금리를 주어야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므

로 금리가 상승하게 된다. 반면에 가계와 기업의 자금수요가 크지 않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자금공급을 늘리게 되면 금리는 하락한다.

금리의 영향

금리의 변동은 가계 소비, 기업 투자 및 물가수준, 국가 간 자본이동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가계는 경제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을 소비하거나 저

축하는데, 이때 얼마나 소비하고 저축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금리이다. 

금리가 오르면 저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자 소득이 증가하므로 가계는 현재의 소

비를 줄이고 미래의 소비를 늘리기 위해 저축을 증가시킨다. 반면 금리가 하락하

면 미래 소비를 줄이고 현재 소비는 늘리기 위해 저축을 줄이게 된다. 주택, 자동

차 등 내구재 구입을 위해 큰 자금이 필요할 때에는 가계는 대출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얼마나 대출을 받을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금리이다.

금리는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을 위한 자금조달

비용이 늘어나 상품가격이 상승할 수도 있지만 금리가 상승하면 가계소비와 기업

투자 위축으로 인해 경제 전체적인 물품수요가 감소하여 물가가 하락할 수 있다.

개방경제 하에서 금리는 국가 간 자금흐름에도 영향을 준다. 국내 금리보다 외

국 금리가 높을 경우, 국내자금이 외국으로 유출되거나 외국자금의 유입이 줄어

든다. 반대로 국내 금리가 높을 경우에는 국내자금의 해외유출이 줄어들거나 외

국 자금의 국내유입이 늘어나게 된다. 

이처럼 금리는 가계소비, 기업투자, 물가 등 실물부문뿐만 아니라 국가 간 자

금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하여 시장

금리에 영향을 줌으로써 경제전체의 흐름을 안정화시킨다.

금리의 종류

① 기준금리

기준금리는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국내 물가, 경기 및 금융·외환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1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1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시장 상황, 세계경제의 흐름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금융통화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결정하는 정책금리이다. 실제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상회

하는 과열양상을 보이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반대로 실제 경제성장

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하회하는 침체양상을 보이면 기준금리를 인하한다. 한국

은행이 기준금리를 변경하면 경제 전반에 다양한 경로로 그 영향이 파급된다. 이

러한 파급경로는 경제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 변경

이 실물경제 및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기준금

리 변동은 장단기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에 영향을 주거나, 주식, 채권, 부

동산, 외환 등 자산의 가격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경제주체들의 물가상승 기대에 

영향을 주어 실물경제 및 물가를 변동시킨다.

자료 : 한국은행, 2017

그림 1-4   주요국 기준금리 변동 추이 

(단위 : %)

6

5

4

3

2

1

0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미국

유로존
캐나다
한국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는 12개의 지역연준, 연준이사회 및 공개

시장위원회로 구성된다. 이 중 공개시장위원회는 7명의 연준이사회 위원, 뉴욕연준 의장 

및 투표권이 있는 4개의 지역연준 의장으로 구성되는데, 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에서는 미 연준 기준금리(Fed fund rate) 목표수준을 결정하고, 연

들여다보기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1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2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는 공개시장조작을 명령하여 미 연준 기준금리

가 목표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신흥국들도 기준금리 인상 압력을 받게 된다. 신흥국

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신흥국 금융시장의 매력도가 떨어지면서 외화자금

이 신흥국에서 이탈할 유인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달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

하여 신흥국 화폐가치가 떨어지면서 외국인 자본의 이탈을 가속화하고, 수입물가 상승으

로 인플레이션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신흥국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실물부문에서 수출

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금융시장 불안이 지속될 경우 장기적으로는 경제여건 악

화로 이어질 수 있다.  

② 시장금리

시장금리는 기간에 따라 단기금리와 장기금리로 나눌 수 있다. 

1년 미만의 단

기자금을 대상으로 금융회사나 거래금액이 크고 신용도가 높은 사람들이 거래하

는 금융시장에서 결정되는 이자율이 단기금리이다. 단기금리는 주로 금융회사 간

에 자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콜금리, 판매자가 다시 사는 것을 전제로 한 채권 거

래인 환매조건부채권(RP: Repurchasing agreement)과 무기명 예금 증서인 양도성예금

증서(CD: Certificate of Deposit)의 수익률이 기준이 된다. 한편 장기금리는 

1년 이상 

채권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하는데 

1년 이상의 국공채, 회사채 그리고 금융채 등

의 수익률이 거래의 기준금리로 이용된다. 대체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데 이는 자금을 빌리는 사람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돈을 사용할 수 있는 이익이 있

기 때문에 더 높은 이자를 지급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시장금리는 신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개인 또는 기업마다 신용도가 다르

기 때문에 금융회사의 입장에서는 돈을 빌려주는 데에 따른 위험이 신용도에 따

라 다르다. 따라서 금융회사는 같은 금액을 빌려주더라도 신용이 좋은 사람에게

는 낮은 이자로 빌려주고, 신용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한

다. 그러나 금융회사가 거래상대방인 가계와 기업의 신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직

접 파악하려 한다면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금융회사는 거래상대방의 신용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신용평

가회사를 활용한다. 현재에는 

Moody’s, S&P, Fitch IBCA 세계 3대 신용평가사가 

있고 우리나라에는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KCB 등이 있다.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3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3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③ 명목금리와 실질금리

화폐의 가치는 물가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의 실질 구매

력은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금융회사가 공시하는 예금 및 대출 금리와 금융시장

에서 결정되는 국고채 및 회사채 금리는 이러한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명목

금리이다. 이러한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분을 뺀 금리가 실질금리이다. 실제로 

가계가 물가상승분을 반영하지 않는 명목금리만으로 보고 예금을 할 때에는 실질

적으로는 손해를 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연리 

1.5%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을 가

입했으나 물가상승률이 연 

2%인 경우, 실질금리는 –0.5%가 된다. 명목금리는 

1.5%이지만 실질금리는 –0.5%이기 때문에 실질 이자소득은 오히려 손해를 본 

것이다.

2

환율

세계화 시대에는 국가간 교류가 활발하여 우리 국민들도 외국으로 여행을 가

기도 하고 외국인들도 한국으로 많이 여행을 온다. 또한 우리나라에 있는 많은 제

조업체들이 석유 등 원자재를 수입하여, 완제품 등 상품을 생산하고, 생산된 제품

을 해외에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국과의 거래에서는 우리나라 화폐인 

원화로는 결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화폐로 결제해야 

한다.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을 환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외국 화폐 

1단위에 

상응하는 원화 가치를 환율로 표시하는 자국통화표시법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달러당 환율이 

1,000원이라는 것은 1달러를 살 때 지불하는 가격이 1,000원

이라는 것이고 유로(euro) 환율이 

1,300원이라는 것은 1유로의 가격이 1,300원이

라는 것을 의미한다. 외국 돈을 외국 상품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면 환율은 다른 

상품의 가격처럼 외국 돈 한 단위의 가격으로 이해할 수 있다. 

100달러를 환전하

는 것, 즉 

100달러를 구입하는 것은 개당 1,000원인 상품을 100개 구입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환율을 표시할 때는 외국 돈 

1단위당 원화의 금액으

로 표시한다. 따라서 환율의 단위는 ₩/$, ₩/

€와 같은 것이 된다(예: 1,000원/달러. 

1,300원/유로)

1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4

2018-02-19   오전 11:13:41


background image

환율의 결정과 변동

환율은 우리나라 원화와 다른 통화간의 교환비율로서 외화1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외환시장에서 결정된다. 외화의 수요는 상품 및 서비스 수입, 자본유출, 내

국인의 해외투자, 내국인의 해외여행 등에 의해 발생하고, 외화 공급은 상품 및 서

비스 수출, 자본유입, 외국인의 국내투자, 외국인의 국내여행 등에 의해 발생한다.

먼저 외화의 공급 측면을 살펴보자. 우리나라 금리가 다른 나라에 비해 높게 

상승하면 금융자산의 수익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외국인 자본이 유입된다. 반대로 

외국 금리가 높아지면 우리나라 금융자산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

에 외국으로 자본이 유출된다. 가령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자본이 미국으

로 이동하여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환율이 상승할 수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외환이 빠져나가면 외화의 공급감소로 인하여 환율이 올

라가게 된다. 반면 수출이 늘어나거나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는 등, 경상수지 흑

자가 늘어나면 외화의 공급이 증가하므로 환율은 하락하게 된다. 실제로 우리나

라 경상수지는 

2012년 이후 크게 늘어났는데,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는 환율 하

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환율 변동에 대한 원인을 외화의 수요 쪽에서도 설명할 수 있다. 한국의 수입 

증가, 국민들의 외국여행 증가 그리고 자본의 유출이 일어나면 외화 수요가 증가

하기 때문에 환율이 올라간다. 

상품의 가격이 올라가면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것처럼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화폐 즉, 우리 돈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환율이 상승하면 

유로

인도  루피 

터키  리라

p31  환율의  결정과  변동  마지막  부분에  넣어주세요

위안(중국): 元 (CNY)

원(한국): ₩ (KRW)

달러(미국): $ (USD)

엔(일본): ¥ (JPY)

파운드(영국): £ (GBP)

유로(유럽연합): 

€ (EUR)

주요 통화와 표시 기호

 외환과 외화

외환은 통화간의 거래를 의
미하고, 외화는 통화, 화폐를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통화
간의 거래가 일어나는 시장
은 외환시장이지만, 그 안에
서 거래되는 통화는 외화라
고 부른다.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5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5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원화 가치가 하락하고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가치가 올라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환율 상승을 ‘원화 약세’라고 하고 환율 하락을 ‘원화 강세’라고 이해하면 편

하다. 따라서 원화 평가절하, 원화가치 하락, 원화 약세는 모두 우리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면서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대적으로 외화의 가치는 

올라간 것을 말한다. 외화의 입장에서 보면 외화 가치 상승과 환율 상승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환율정책은 나라마다 그 결정방식이 다른데, 크게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로 나

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외환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고정환율제도는 정부 또는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환율을 일

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제도로, 우리나라는 과거에는 고정환율제도를 사용하였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자유변동환율제도로 변경하여 시행하고 있다. 변동환율제도는 국

제수지 불균형이 발생했을 때 고정환율제도보다 빠르게 조정된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

는 많은 국가들이 변동환율제도를 택하고 있다. 변동환율제도 하에서는 시장에 의한 환

율 결정을 원칙으로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환율의 급격한 변동으로 경제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는 금융당국이 외환시장에 참가하여 환율의 변동 속도를 조정(smoothing 

operation)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들여다보기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환율의 영향

환율 변화는 경제주체들의 외환수요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

어 환율이 상승하면 우리나라 수출품의 외화표시 가격이 하락하여 수출이 증가하

지만, 동시에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수입이 감소하여 경상수지가 개선된다. 따라

서 환율 상승은 수출 증대를 통해 경제성장이나 경기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흔히 불경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이자율을 낮추는 통화정책을 사용하기도 하지

만 자국 화폐 가치를 하락시키는 환율정책을 사용하기도 한다. 환율이 상승하면 

국제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율 상승이 우리 경제에 반드시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환율이 상승하

면 원자재 및 부품 등 수입품 가격이 오르면서 국내 물가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

1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6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이다. 또한 수입 기계류 가격도 올라서 투자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계

의 경우에는 해외여행 비용이 상승하고, 기업의 경우에도 외화표시 부채의 상환

부담이 높아질 수도 있다.

환율이 높거나 낮은 것 중 어느 것이 우리 경제에 더 유리하다거나 불리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환율 변동성이 높은 것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환율변동성이 높아질 때에는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환율을 안정시킨다. 예를 들면 투기세력이 외환시장에서 외화를 대량으로 매도하

거나 매수하면 환율은 크게 변동하게 된다. 이때 정책당국은 외환보유고를 이용

하여 외환시장을 진정시킨다. 따라서 외환보유고는 외화 지급불능 사태에 대비할 

뿐만 아니라 외환시장 교란시 환율 안정을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다.

  환율 변동과 상품의 가격

 

 

 

 

 

 

 

 

 

 

 

 

 

 

 

 

   

 

           . 

•   $1=1,000 

  

 

 1

 

 

 

 .

   :   

(

) = 

/

   (10,000 )/(1,000 /$) = $ 

•  $1=1,000 

  

 $100

  

 

 

 

 

 

 .

   : (

) =  = $100

1,000 /$ =   

 

•  

 $1=1,000 $1=1,200 

 $ 

 

 $ 

   , 

 

    

 

   

 

 

 

 

 

 

 

  

 

 

 

 

 

 

 

.

(정답 : ①10 ②100,000 ③8.33 ④120,000)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7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7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3

주가

주식과 주식시장 

주식은 주식회사가 자본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권으로, 주식시장은 시장

경제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들은 주식시장을 통해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개인들은 여유자금의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 주식시장이 없다면 기업

들은 수많은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거나 다른 기업들의 인수합병을 통하

여 성장하는 기회를 가질 수 없다. 

주식시장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 구분된다. 발행시장은 기업공개(IPO)나 

유상증자를 통해 주식이 발행되는 시장이고, 유통시장은 발행 이후의 거래가 일

어나는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주식 유통시장은 크게 유가증권시장(KOSPI market), 

코스닥(KOSDAQ)시장, 코넥스(KONEX)시장이 있다.2 

주가지수와 경기변동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종목의 주식이 거래되기 때문에 어떤 주식은 가격이 올라

가고 또 어떤 주식들은 가격이 떨어지기도 한다. 주식시장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

하여 평균적으로 주식가격이 올랐는지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index)

가 필요하다. 주가지수를 작성하는 원리는 물가지수를 작성하는 것과 같다. 지수 

작성의 목적에 맞추어서 특정 종목의 주식을 대상으로 평균적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인지 하락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주가지수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 / 기준시점의 시가총액 × 100 

경제의 건강성이 반드시 주가지수 변동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좋아지고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고 사람들의 경제에 대한 신인도가 높

아지면 주가지수가 상승하고 반대로 불경기나 경제에 대한 신인도가 떨어지면 주

가는 하락한다. 따라서 주가지수의 변동은 경제상황을 판단하게 해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통화 공급이 늘어나거나 이자율이 하락하는 경우에도 소비와 투자가 늘어

나서 기업의 이익이 커지기 때문에 주가지수는 상승하게 된다. 외국인들의 주식

자세한 내용은 제4장의 ‘금
융투자의 이해’ 부분을 참고 
하라.

1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8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시장 투자도 주가지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주식시장에

서 외국인 투자가 늘어나면 주가지수가 올라가고 반대로 외국인 투자가 감소하면 

주가지수가 하락한다. 이 밖에도 주가지수는 국내의 정치상황이나 사회변동에 의

해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우리나라의 주가지수

코스피(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는  우리나라  한국거래소(KRX: 

Korea Exchange)

에 상장되어 유가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

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낸 지수이다. 과거에도 주가지수가 있었지만 현재의 코스피

는 

1980년을 기준년도 100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한편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 중에서 거래량이 많고 대표성이 있는 주식 

200종목을 선정하여 별도로 주가

지수를 만든 것이 코스피

200(KOSPI 200: Korea Stock Price Index 200)이다. 이 지수는 

1990년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작성된 지표이다. 코스닥(KOSDAQ Composite Index)

은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의 주가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1996년에는 기준지수가 

100이었지만 2004년에 기준지수를 1,000으로 변경하여 작성 및 발표하고 있다. 

자료 : 한국거래소, 한국은행

그림 1-5   주가지수 추이와 경기변동 

2,200

102

2,000

101

1,800

100

1,600

99

1,400

98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KOSPI 지수(좌)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우)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9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19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주요국 주가지수  

18세기에 출범한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NYSE: New York Stock Exchange)는 거래

량이나 거래금액 면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주식시장이다. 원래는 미국 기업들

의 주식만 거래하였지만 지금은 외국 기업들도 상장되어 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 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경제전반에 걸친 

30

개 대형 제조업 기업들의 주식들로 구성되어 있다. 지수는 단순가격평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의 대표적인 경제신문인 월스트리트저널(Wall Street Journal)

이 작성 및 발표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이면서 미국 주식시장

과 경제상황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두 번째 주식시장은 미국증권거래소(AMEX: American Stock Exchange)이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을 거래하며 시장의 위치는 역시 뉴욕이

다. 미국의 세 번째 주식시장이면서 산업기술주를 주로 거래하는 나스닥(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시장은 

1971년부터 주

로 정보통신과 산업 기술 관련 기업들의 주식을 전산으로 매매한다. 나스닥지수

(

NASDAQ Composite Index)

는 나스닥 증권시장에 등록돼 있는 

5,000개 주식을 가

중평균하여 구한 지수이다. 미국의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다드앤드푸어

스사가 작성·발표하는 

S&P500지수(Standard & Poor’s 500 Index)도 주식시장 상황

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S&P500지수는 주로 NYSE시장의 주식이 많지만 

NASDAQ과 AMEX시장의 주식도 포함하여 작성되고 있어서 증권시장 상황을 잘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아시아 지역에는 일본의 니케이(Nikkei Stock Average Index)지수, 홍콩의 항셍

(

Hang Seng Index)

 지수, 중국의 상하이종합지수(Sanghai Composite Index), 대만의 자

이취엔지수(Taiwan Weighted Average Index)가 유명한 주가지수이다.

주식시장의 다른 지표

주식시장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주가의 변동 상황을 보여주는 주가지수

가 가장 중요한 지표이지만 주식시장의 규모나 유동성을 나타내는 다른 지표들도 

있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수량인 거래량과 거래금액도 중요한 지표 

이다.

사람들이 사업실적이나 경제 전망을 낙관적으로 예상하면 주식을 사려는 사람

2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0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 독일 프랑크푸르트 주식시장 앞에 있는 황소와 곰 동상 

실업률이 낮고 물가가 안정되어 있어서 경제 상황이 좋을 때 주식시장이 장기적으로 호

황을 보이는 시장을 Bull Market 또는 강세장이라고도 부른다. 반대로 주식시장이 침체되

어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상황은 Bear Market 또는 약세장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용어는 두 동물이 공격할 때의 모습을 빗대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황소는 싸울 때 

뿔을 위로 치받는 반면 곰은 앞발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찍기 때문이라고 한다.

들여다보기

Bull Market과 Bear Market

이 늘어나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주가가 상승한다. 반대로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

고 경제 상황이 비관적으로 예상되면 주식을 팔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도 있고 

주식을 사려는 사람도 줄어들어 거래량이 감소하고 주가는 하락할 수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가가 변동하기 전에 거래량이 먼저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거래량이 증가하면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고 거래량이 감소하면 주가가 하락

하는 경향이 있다. 즉, 주가가 상승하는 강세장에서는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매수 세력이 크게 늘어나 거래량이 증가하나 반대로 주가가 하

락하는 약세장에서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거래량이나 거래금액은 단기적으로는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지만 장기적으

로는 시장규모의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고려가 필요하다.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21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1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학습내용정리

S u m m a r y

   경제활동은 경제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지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한 국가의 경제는 생산·분배·지출의 과정을 반복하며 순환한다. 생산·분배·지출과 같은 경제활동

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각 경제주체 간에 일어나는 거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돈의 양이 충분

해야 하고 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금융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어야 한다. 

   국민경제의 순환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개방경제는 생산, 분배, 지출 

활동에 있어서 해외부문의 역할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 기업이 생산한 생산물을 외국으로 수출하고 석

유, 식량, 원자재 같은 것들은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이다. 

   금리는 자금 거래를 중개하는 가격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나 소비가 줄어들

어서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외국자본의 유입이 늘어나서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 

   환율은 외국돈의 가격이면서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환율(\/$)이 상승하

면 원화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 반대로 수입상품의 가격은 상승하

여 물가 상승 압력이 생길 수 있다. 외국의 금융자산에 투자할 때는 국가간 수익률 차이뿐만 아니라 만

기시의 환율 변동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해외 투자의 경우에 만기에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로 환산할 

때 실제 수익은 감소할 수 있다.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평균적인 가격수준을 주가라고 하고 이를 물가지수처럼 지수화한 것이 

주가지수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에는 코스피(KOSPI)가 있다.

2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2

2018-02-19   오전 11:13:42


background image

예시문제

E x e r c i s e

01

 생산·분배·지출과 같은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나야 경제는 선순환을 하며 발전할 수 있다. 

경제가 선순환하기 위해 금융이 하는 역할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서술하시오.

02

 금리·주가·환율 등의 금융지표를 통해 우리는 실물경제 상황을 알 수 있다. 금융지표별 움직임

에 따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03

 미국의 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있는 외국인 자금들이 해외로 나갈 

위험이 높아진다. 미국의 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왜 외국인 자금들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

아지는가?

1장금융의역할과주요금융지표

23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3

2018-02-19   오전 11:13:43


background image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4

2018-02-19   오전 11:13:44


background image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02

01 금융상품
02 금융시장
03 금융회사
04 금융유관기관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5

2018-02-19   오전 11:13:50


background image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본 장에서는 금융시장에 존재하는 다양한 금융상품의 속성과 금융자산을 개발·운용·판매
하는 금융회사의 역할을 살펴본다. 그리고 민간 금융회사들이 자발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공공금융서비스를 공급하는 금융유관기관의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주요 금융상품의 기본 속성을 구별할 수 있다.
 금융시장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은행, 보험사, 금융투자회사 등 여러 금융회사들의 역할을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학습개요

학습목표

02

정부, 금융업 진입 문턱 확 낮춘다…

“기존 금융사 과점지위 없앤다”

내년부턴 인터넷전문은행처럼 혁신을 앞세운 금융회사가 문을 여는 게 지금보다 훨

씬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갖춘 사업자가 금융산

업에 쉽게 뛰어들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대폭 낮추기로 했다. 

우선 금융당국은 ‘금융산업 구조 선진화’를 내건 새 정부 방침에 따라 금융업 진입 

규제를 획기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현재 금융업 진입 규제는 진입 장벽이 상당히 견

고한 편이다. 올해 등장한 인터넷전문은행이 1992년 평화은행 이후 인가를 받은 첫 은

행일 정도다. 시중은행들이 지난 25년 동안 과점 지위를 유지하며 별다른 서비스 혁신 

없이 매년 수조원의 이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다. 보험업과 금융투자업권도 사정은 

비슷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업권별로 신규 사업자 인가 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인터넷

은행처럼 정부가 정책으로 추진하는 경우에만 신규 인가가 제한적으로 허용된 측면이 

있었다”고 말했다. …(중략)…

아울러 정부는 각 업권 전문가 집단을 꾸려 주기적으로 업권별 경쟁 수준을 점검한 

뒤 보고서 등의 형태로 신규 진입이 필요한 업권을 발표할 예정이다. 사업자들이 경쟁

이 치열한 업권에 몰리는 걸 막고, 미리 인가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다만 

일각에선 금융업 신규 면허가 남발돼 오히려 자격 없는 금융회사가 많아지는 것 아니

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사전규제는 완화하되 사후감독을 대

C

H

A

P

T

E

R

생각

열기

2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6

2018-02-19   오전 11:13:50


background image

1

금융상품의 종류

일반 시장에서 상품들이 거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금융시장에서는 금융상품

이 거래된다. 금융상품을 구입하는 사람들, 즉 금융소비자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

는 상품을 골라서 선택할 수 있다. 자신이 가진 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를 원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자신이 가진 돈의 가치를 크게 키우기를 원하는 사람들도 있으

며, 또 어떤 사람들은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보험성 상품을 원하는 경우도 있다. 

금융상품의 종류를 살펴보자.

저축상품

안전성·수익성·유동성을 기준으로 보면 저축상품은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이다. 저축은 목적에 따라 입출금이 자유로운 보통예금, 

목돈마련을 위한 정기적금, 목돈을 불려나가는 거치식 예금인 정기예금 등 다양한 

상품에 가입할 수 있다. 보통예금은 이자가 아주 낮은 대신에 입출금이나 송금이 자

유롭고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결제 계좌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폭 강화하는 식으로 소비자 보호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2017.8.22, 김동욱 기자]

 금융소비자가 일상에서 필요한 금융상품 및 금융서비스는 무엇일까?
  금융시장에는 어떤 금융회사가 존재하고 있으며, 각 회사가 제공하는 금융상품 및 서비

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금융상품

01

SECTION

27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7

2018-02-19   오전 11:13:50


background image

대출상품

대출이란 돈이 필요한 가계나 기업 등에 돈을 빌려주고 일정기간 후 상환하도

록 하는 금융상품으로 돈을 빌려주는 대가로 이자를 수취한다. 대출상품은 주택

이나 자동차, 예금 등을 담보로 저당권·질권을 설정하고 돈을 빌려주는 담보대

출과 담보 없이 개인이나 기업의 신용으로 대출을 받는 신용대출로 나눌 수 있다. 

담보대출은 금융회사의 입장에서 보면 대출받은 사람이 돈을 갚지 못할 경우 담

보로 잡은 자산을 매각하여 원금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신용대출

보다 대출금리가 낮다. 

금융투자상품

금융상품은 투자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과 투자성이 없는 비금융투자상품으

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투자성이란 투자한 원금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금융투자상품은 장래에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금융상품을 말하는데, 투자에 대한 성과를 얻을 수 있지만, 손실을 볼 위험도 있

다. 금융투자상품 중 원금까지만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품으로는 주식, 

채권, 펀드 등이 있고, 원금을 초과하여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품으로 

파생상품 등이 있다. 각 투자상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

4장과 제5장을 참고 

하자.

그림 2-1   금융투자상품의 분류 

YES

        정형화된 시장에서 거래 여부

NO

장외파생상품

장내파생상품

NO

        원금초과손실가능성

YES

파생상품

증권

YES

        원금손실가능성

NO

비금융투자상품

금융투자상품

금융상품

2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8

2018-02-19   오전 11:13:50


background image

보험상품

보험은 질병, 재해, 사망 등 각종 사고와 같은 위험에 대비한 보장을 받기 위하

여 가입하는 금융상품이다.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험회사

로부터 약정된 보험금을 받아 경제적 손실을 만회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그러

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 낸 보험료는 돌려받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험은 일반적으로 장기 계약이 많고 중간에 해지하면 손해를 보기 때문에 특

히 신중한 선택이 요구된다. 

연금상품

연금상품은 저축이나 투자상품처럼 구조면에서 다른 상품과 구분되는 것이 아

니라, 안정적인 노후생활이라는 특정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상품으로 형태가 다

양하다. 개인이 금융시장에서 가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연금상품은 세액공제1를 

받을 수 있는 연금저축과 발생한 이자나 수익에 비과세2하는 연금보험이 있는데, 

연금저축은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으로 구분되므로 안정성, 

수익성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상품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즉시연금, 

월배분형 연금펀드 등 다양한 연금상품이 만들어지고 있으나 공통적인 특성은 유

동성이 매우 낮게 설계된다는 점이다. 노후 준비라는 장기적인 목적을 위해 꾸준

히 저축하고 오랫동안 나누어 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연금상품의 가장 큰 특

성이기 때문이다. 

2

금융상품 한눈에

금융감독원은 금융소비자들이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금

융상품통합비교공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이트는 금융상품을 저축, 대

출, 펀드, 연금, 보험 등 

5개로 구분하여 금융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주요 특성별로 금융상품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금융 의사결정시 유용하다.

1  세액공제

납부자가 부담하는 세금액 중 
일부를 빼주는 것을 말한다.

2  비과세

원래는 세금이 부과되는 과
세대상이나, 어떤 목적 등을 
위해 아예 과세 대상에서 제
외하는 것을 말한다. 

29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29

2018-02-19   오전 11:13:50


background image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금융상품한눈에’(http://finlife.fss.or.kr)에서는 각 금

융협회(은행연합회, 저축은행중앙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금융투

자협회, 신협중앙회, 한국대부금융협회)를 통해 금융기관별로 제공하는 금융상품 자료를 

수집하여 공시하고 있다. 매월 20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정기 예·적금, 주택담보대

출, 전세자금대출, 개인신용대출, 연금저축 상품자료를 금융회사 권역별로도 비교가 가능

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상황에 따라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주택담보대출을 받고자 할 때 대출 희망자의 주택가격, 대출금액, 대출기간, 

주택종류 및 금리·상환방식 조건에 따라 적합한 금융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저축

성 상품의 만기 수령액, 대출의 월평균 상환액 등 각 금융상품에 대한 예시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본인의 저축이나 상환계획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들여다보기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출처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한눈에’ 화면

3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0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금융시장

02

SECTION

1

금융시장의 구성

농산물 시장에서는 농산물 생산자인 농부가 공급자가 되고 일반 소비자들이 수

요자가 되며, 거래되는 상품은 쌀·콩·채소·과일과 같은 농산물이다. 금융시장

도 다른 시장과 마찬가지로 수요자와 공급자 그리고 상품이 있어야 한다. 금융시

장이란 기업, 가계, 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금융상품을 거래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여유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가 만나 금융거래를 하는 

곳이다. 

금융시장에서 자금수요자는 주로 기업이다. 기업은 생산을 위해 설비를 갖추

어야 하고 근로자를 고용한다. 특히 설비투자를 위해서는 장기간에 상당한 자금

을 동원해야 한다. 가계는 자동차나 주택 구입과 같이 일시적으로 대규모 지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신들의 소득으로 지출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금수요자가 

될 수 있으며, 정부도 조세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경우에 자금의 수요자가 된다. 

이 밖에 외국도 자금의 공급자나 수요자가 될 수 있다.

자금의 공급자는 본인들의 수입이나 소득보다 지출이 적은 사람들로, 자신들

이 저축한 돈의 가치가 증가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단순히 돈을 보관하는 것이 아

니라 투자자가 되어서 적극적으로 돈을 증식시키려고 한다. 이들은 채권이나 주

식을 포함한 다양한 금융상품을 구입하여 이자나 배당소득 그리고 매매차익을 노

린다. 대출상품을 제외하고는 금융상품의 수요자가 자금의 공급자가 되고 금융상

품의 공급자가 자금의 수요자가 된다.

2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

직접금융은 기업과 같이 자금의 수요자가 발행하는 증권을 자금의 공급자가 직

접 매수하여 자금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회사채나 주식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회사채(채권)는 기업이 일정 기간 후(만기)에 정해진 액면금

액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증서를 말하며,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

31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1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본을 이루는 단위로서 주주의 권리와 의무를 나타내는 증권이다.

직접금융은 기업들이 원하는 금액의 자금을 장기로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

기 때문에 기업의 장기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에 용이하다. 그러나 주식의 발

행은 기업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고, 회사채의 발행은 신용도

에 따라서 높은 금리를 지불하거나 발행 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부

도 직접금융시장에서 국채를 발행하여 재정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자금공급자

자금수요자

주식, 회사채 등

자금

간접금융은 직접금융에 대립되는 말로서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은행 

등 금융회사가 일반인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해주는 것이 대

표적인 형태이다. 간접금융시장의 자금거래는 두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

째 단계는 자금의 공급단계로 자금공급자가 금융회사에게 자금을 맡기고 금융회

사는 자금공급자에게 예금증서 등을 교부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자금의 

수요단계로 금융회사가 자금을 수요자에게 제공하고 차용증서를 교부받는 단계

로 구성된다.

금융회사

자금공급자

자금수요자

예금

예금증서

차용증서

대출

3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

금융시장은 금융상품의 만기에 따라 단기금융시장(자금시장)과 장기금융시장(자

본시장)

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금융상품의 만기란 금융회사에 맡기거나 금융회사로

부터 빌린 자금을 되돌려 받거나 갚아야 하는 기한이다. 

단기금융시장에서는  콜(Call),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양도성예금증서

(

Certificate of Deposit)

 등 통상 만기 

1년 이내의 금융자산이 거래된다. 콜시장은 금

3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2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융회사 상호간에 자금과부족을 일시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초단기 자금거래가 이

루어지는 시장이다. 콜거래는 최장 

90일 이내로 만기가 제한되어 있으나 거래물

량의 대부분을 익일물이 차지하고 있다.  

기업어음은 신용상태가 일정 수준 이상의 양호한 기업 또는 금융회사가 단기자

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증권이다. 기업어음시장은 기업 등 발행자가 자기신

용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한 절차를 거쳐서 단기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수단이 

되며 자금공급자에게는 단기자금 운용수단이 된다. 양도성예금증서는 정기예금

에 양도성을 부여한 예금증서이다. 양도성예금증서는 기업어음과 마찬가지로 할

인방식으로 발행되며 발행금리는 발행금액 및 기간, 발행 금융회사의 신용도, 시

장금리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장기금융시장은 자금수요자가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이 

발행 또는 유통되는 시장이다. 장기금융시장은 보통 만기가 

1년을 초과하는 회사

채, 국채, 통화안정증권 등이 거래되는 채권시장과 만기가 영구적인 것으로 간주

되는 주식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4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금융시장은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으로도 분류할 수 있다. 발행시장은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돈을 빌리는 시장이고 유통시장은 이미 발생된 채

권이나 주식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시장이다. 유통시장에는 주식거래소

시장, 채권시장, 선물시장 등이 있는데, 만기가 정해진 상품일지라도 쉽게 현금화

할 수 있고, 시장가격도 이곳에서 결정된다. 

유통시장에서 거래가 원활하지 않은 주식이나 채권은 발행시장에서 인기가 없

고, 마찬가지로 발행시장에서 인기가 없어서 규모가 작고 가격이 낮은 주식이나 

채권은 유통시장에서도 인기가 없다. 이와 같이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은 서로 밀

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5

거래소시장과 장외시장

유통시장은 거래소시장과 장외시장으로 구분된다. 거래소시장은 금융상품을 

33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3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판매하고 구입하는 장소와 거래의 형식이 일정하게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모

든 거래가 집중되고 가격 및 거래정보가 누구에게나 잘 알려지며 거래의 익명성

이 보장되어 거래 상대방이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장외

시장은 특정한 규칙 없이 거래 당사자간에 매매가 이루어지는 시장이다. 

우리나라는 한국거래소가 증권과 파생상품의 원활한 거래와 가격형성을 담당

하고 있다. 

2005년에는 주식·채권 등을 거래하는 증권거래소, 선물 및 옵션을 

거래하는 선물거래소, 기술주 중심의 주식을 거래하는 코스닥증권시장 등 

3곳을 

한국거래소로 통합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에서는 주식, 채권, 상장지수펀

드(ETF), 상장지수증권(ETN) 및 파생상품 등을 모두 거래하고 있다. 

장외시장은 주로 증권회사를 매개로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증권회사는 매도 

또는 매수를 원하는 투자자와 반대거래를 원하는 상대방을 연결시켜 거래를 중개

한다. 

표 2-1

  거래소 시장 : 주식의 거래 규모(유가증권시장) 

연도

주식거래량(천주)

주식거래대금(십억원)

2005

116,439,734

786,257

2010

95,595,708

1,410,562

2015

112,903,399

1,327,230

2016

92,686,041

1,112,669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금융회사

03

SECTION

1

금융회사의 종류

금융회사가 오랜 역사를 통해 사회의 요구에 맞춰 발전하게 되면서 점차 금융

회사 사이에 분업이 나타나게 되었다. 금융회사는 취급하는 금융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은행, 비은행 금융회사, 보험회사, 금융투자회사, 금융지주회사 등으로 구

분할 수 있다. 

3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4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표 2-2

  우리나라의 금융회사 현황 

은행

일반은행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

특수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업협동조합중앙회(농협은행)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수협은행)

산림조합중앙회

비은행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회사

신용카드사

리스사

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상호금융

신용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보험회사

생명보험회사

손해보험회사

금융투자회사

증권사

선물사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부동산신탁

종합금융회사

기타 금융회사

금융지주회사, 우체국예금/보험 등

35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5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2

은행

은행은 예금 또는 채무증서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고 

기업, 가계 등에 대출하는 금융회사이다. 은행은 은행법에 의거 설립되어 운영되

는 일반은행, 개별 특수은행법에 의거 설립되어 운영되는 특수은행, 그리고 외국

은행국내지점으로 구분된다.

은행의 업무는 고유업무, 부수업무 그리고 겸영업무로 구분된다. 은행법상 규

정된 은행의 고유업무는 예적금 수입, 유가증권 또는 채무증서 발행, 자금의 대

출, 어음할인 및 내·외국환이다. 부수업무는 이와 같은 은행의 고유업무에 부

수하는 업무로서 채무보증, 어음인수, 상호부금, 보호예수 등이 있다. 겸영업무

는 다른 업종의 업무 중 은행이 영위할 수 있는 업무로서 「자본시장법」상의 집합

투자업과 집합투자증권에 대한 투자매매·중개업 및 투자자문업, 신탁업, 「여신

전문금융업법」상의 신용카드업,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의 퇴직연금사업 등이  

있다. 

한편 은행은 영업지역을 기준으로 전국을 영업대상으로 하는 시중은행과 주

로 특정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지방은행으로 나누어볼 수 있고, 설립목적에 따라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수은행은 수출이나 산업발전이라는 

국가의 목표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이익이 낮아서 일반은행들이 참가하

지 않는 영역의 업무를 담당하기도 한다. 특수은행으로는 한국산업은행, 한국수

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이 있다. 한국산업은행은 

1954년 전

후 복구지원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기업구조조정, 미래성장

동력 발굴, 사회간접자본 확충 등 시장경제를 보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

국수출입은행은 수출입·해외투자·해외자원개발 등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며, 

중소기업은행은 담보여력이 없거나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은행이다. 농협은행은 농업인과 농업협동조합에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제

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수협은행은 어업인과 수산업협동조합에 필요한 각종 금

융서비스를 제공한다.

3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6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은행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많은 문헌에서 유럽의 금(金) 세공업자

로부터 은행이 탄생했다고 전하고 있다. 과거 금이 돈을 대신하여 거래되던 시기에는 금

의 부피와 무게 제약으로 가지고 다니기가 쉽지 않았고 간혹 중량과 순도에 있어서 말썽

이 나기도 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사람들이 약간의 보관료를 지불하면서 금 세

공업자에게 금을 맡겼는데, 이는 금 세공업자가 튼튼한 금고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보관

이 가능하고 순도 또한 보증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사람들이 점차 불편한 금을 직

접 주고받는 것보다 금 세공업자가 발행한 보관증을 이용해 상거래를 하게 되면서 맡겨둔 

금을 실제로 찾으러 오는 경우가 드물어졌다. 그러자 금 세공업자들은 보관하고 있는 금을 

가지고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을 시작했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아 돈을 벌기 시작했다.

금 세공업자가 막대한 부를 축적하게 되면서 금을 맡긴 주인들이 금 세공업자가 자신들

의 금을 이용해 돈을 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항의하자, 금 세공업자는 대출로 발생하는 

이익의 일부를 금 주인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예금 이자의 개념이 된다.

더 나아가 금 세공업자들은 맡아둔 금보다 많은 보관증을 발급하며 점점 더 많은 돈을 

벌게 되는데, 어떻게 금도 없이 보관증을 남발할 수 있었을까? 이는 금 세공업자들의 경

험상 사람들이 금을 맡긴 후 찾아 쓰는 비율은 통상 맡긴 금의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사

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10%라는 수치는 현재 은행이 사용하고 있는 지급준비율

의 토대가 된다.

은행들이 지급준비금으로 얼마나 남기느냐에 따라서 예금통화의 크기가 결정된다. 100

만원의 현금이 예금으로 들어올 때 예금 금액의 10%만 현금으로 남겨도 된다면 90만원

을 대출해줄 수 있다. 현금을 대출받은 고객이 다른 은행에 90만원을 맡기면 다시 예금을 

받은 은행은 10%인 9만원만 남기고 81만원을 대출해줄 수 있다. 81만원을 예금으로 받

은 세 번째 은행은 8.1만원만 남기고 나머지를 다시 대출해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반복

해서 거치면 최초의 100만원 현금 예금이 900만원의 대출을 가능하게 해준다.  예금통화 

창조 금액은 지급준비금의 역수가 된다. 지급준비율이 20%면 5배의 통화량이 새로 만들

어지고 지급준비율이 10%라면 10배의 통화량이 만들어질 수 있다.

들여다보기

은행의 기원

한국은행

A은행

B은행

C은행

합계

화 폐 발 행

100

100

100

90

81.0

1,000

지 급 준 비 금

  10

  9

  8.1

  100

  90

81

72.9

  900

37

2장금융상품과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7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3

비은행 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은 흔히 저축은행이라고 부르는데 지역 서민들과 기업을 대상으

로 여수신 업무를 주로 하고 있다. 신용도가 낮은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은행보다는 높지만 대신에 예금금리도 높다. 상호저축은행은 

1972년 사금융 양성화 목적으로 상호신용금고법을 제정하면서 설립되었다. 당시 

은행은 제한된 금융자본을 경제성장을 위한 기업부문에 주로 공급하였다. 그 결

과 서민들은 사금융기관을 통하여 자금을 빌릴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사금융기

관은 부실경영 등으로 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금융 질서를 문란하게 하

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금융기관을 양성화하여 전문적 서민 금융

기관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상호신용금고법을 제정하였다. 상호저축은행은 전문

적 서민 금융기관으로서 서민들에 대한 금융 서비스 확대를 도모한다는 설립 취

지에 맞추어 총여신의 일정비율 이상을 영업구역 내 개인 및 중소기업에 운용해

야 한다.

직장·지역 단위의 신용협동조합, 지역단위의 새마을금고, 농어민 협동조합인 

농·수협 단위조합, 그리고 산림조합 등은 조합원에 대한 여수신을 통해 조합원 

상호간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운영되는데 이를 상호금융이라고도 한다. 

우체국예금은 농어촌 등 민간 금융 취약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체신관서를 금융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우체국예금은 

국가가 경영하는 우정사업본부가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예금의 원리금을 정부가 

지급할 책임을 지고 있다.

금융회사 중에서 고객의 예금을 바탕으로 돈을 빌려주거나 투자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수취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가계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는 금융회사들이 있다. 신용카드, 시설대여(리스), 할부금융 그

리고 신기술사업 금융업이 여신을 전문으로 하는 금융회사들이다. 

리스회사는 건물, 자동차, 기계, 사무기기 등을 구입하여 사용자에게 대여하여 

사용료를 받는 일을 한다. 리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자산관리의 부담이

나 한꺼번에 많은 자금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장점 때문에 리스회사를 이용한다. 

할부금융은 판매사나 제조사에서 상품을 구입할 때 할부금융회사가 미리 돈을 

내고 소비자는 일정기간 나누어서 갚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할부금융회사는 상

3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8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품구매액을 초과하는 자금을 대출할 수 없다. 그리고 할부금융 자금은 상품 구입 

목적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대출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대출하지 

않고 판매자에게 직접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금융회사 이름에 주로 ‘○○캐피탈’

이라는 이름이 붙은 금융회사들이 전형적인 할부금융회사이다. 

신용카드 회사는 전형적인 여신전문 금융회사인데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의 

가격을 미리 지불하고 결제일에 한꺼번에 금액을 받거나 나누어서 갚게 하고 기

간 동안에 발생하는 이자소득이나 사용수수료로 수입을 올린다.

은행의 주요 수입원은 이자수익과 비이자수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자수익은 은행이 

예금고객에게 지불하는 예금이자와 예금으로 받은 돈을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해주고 받

은 대출이자 간의 차이로 벌어들이는 수익이다. 비이자수익은 수수료수익이라고도 하는

데 환전할 때 발생하는 환전수수료, 증빙서류 발급할 때 받는 수수료, 펀드 및 방카슈랑스 

판매 수수료, 송금수수료, 문자통지서비스 수수료 등 이자수익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 발

생하는 수익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다. 과거에는 은행의 업무 특성상 전통적 업무에 발

생하는 이자수익이 은행수익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나 저금리기조로 들어서면서 이자수

익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들여다보기

이자수익과 수수료 수익 

4

보험회사

보험회사는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보험업을 취급하는 금융회사를 말하는데 

생명보험업은 사람의 생존과 사망에 관하여 사건이 발생(사망)했을 때 약정한 보

험금을 지급하는 일을 담당한다. 반면 손해보험은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

의 보상을 담당한다.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은 완전히 분리된 보험으로 서로 겸업

하지 않지만 사람의 질병, 상해 또는 이로 인한 간병을 대상으로 하는 보험인 질

병보험, 상해보험, 간병보험은 생명보험이나 손해보험 회사들이 자유롭게 취급할 

수 있다. 

보험회사 중에 보증보험을 전담하는 회사들도 있는데 보험계약자로부터 보험

료를 받고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에게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거나 피해를 끼쳤을 

39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39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때 대신 보험금을 지급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SGI서울보증은 일반적인 보증보험

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술보증기금은 기술평가시스템에 근거하여 기술혁신형기

업의 보증을,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주택분양 보증, 임대보증금 보증, 조합주택시

공 보증, 전세보증금반환 보증, 모기지 보증 등을 담당한다.

재보험은 보험회사가 피보험자로부터 계약한 보험내용의 일부나 전부를 다른 

보험회사에 다시 보험을 드는 보험제도이다. 재보험은 대형 사고와 같이 큰 경제

적 보상이 필요하여 한 개의 보험회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에 위험을 분산하

는 보험제도로서 우리나라에는 코리안리가 유일한 재보험 회사이다.

5

금융투자회사

2009년부터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은 금융투

자업무를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일임업, 투자자문업, 신탁업

의 

6가지 업무로 구분하고 금융투자업무 전부 또는 일부를 담당하는 회사를 금융

투자회사라고 부른다.

표 2-3

  자본시장법상 금융투자업의 종류 

종류

내용

투자매매업

금융회사가 자기자금으로 금융투자상품을 매도·매수하거나 증권을 발행·인수 또
는 권유·청약·승낙하는 것

증권회사
선물회사

투자중개업

금융회사가 고객으로 하여금 금융투자상품을 매도·매수하거나 증권을 발행·인수 
또는 권유·청약·승낙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것

증권회사
선물회사

집합투자업

2인 이상에게 투자를 권유하여 모은 금전 등을 투자자 등으로부터 일상적인 운영지
시를 받지 않으면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배분하여 귀속시키는 것을 영
업으로 하는 것

자산운용회사

신탁업

신탁법에 의한 신탁을 영업으로 하는 것

신탁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투자자문업

금융투자상품의 가치 또는 투자판단에 관하여 자문을 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는 것

투자자문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투자일임업

투자자로부터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판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임받아 투자자별로 
구분하여 자산을 취득·처분 그 밖의 방법으로 운용하는 것을 영업으로 하는 것

투자일임회사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4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0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금융투자회사 중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증권회사는 자본시장에서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의 발행을 주선하고 발행된 유가증권의 매매를 중개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은행이 예금자의 예금을 받아서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것과는 

달리 증권회사는 기업과 투자자를 직접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은행과는 업무성격

이 다르다. 즉 은행 예금자는 자신의 돈을 대출받아가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

으나, 증권회사를 통해서 어떤 기업의 주식을 매입한 투자자는 그 기업의 주주가 

되고 그 기업에 대하여 주주의 자격에 근거한 여러 권리를 행사할 수 있게 된다.

자산운용회사는 채권과 주식을 매매하고 집합투자기구인 펀드를 관리하는 펀

드매니저가 있는 회사이다. 자산운용사는 펀드를 만들고 운용하므로 투자 수익률

은 자산운용사의 역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운용사가 어디

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투자자문회사는 투자자로부터 주식, 펀드, 채권 등 금융투자상품 등에 대한 투

자일임업이나 투자자문업을 주로 하는 금융회사를 말한다. 하지만 단기간 고수익

을 내세우며 정체를 알 수 없는 운용전략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유사 투자자문

회사들이 적지 않다. 이 경우 금융감독원 사이트(www.fss.or.kr)에 방문하여 ‘제도

권 금융회사 조회 서비스’를 통해 등록된 금융회사인지 확인해 보고 이 서비스에 

이름이 조회되지 않는 회사라면 한 번쯤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금융지주회사란 금융과 지주회사를 합한 말로 주식의 보유를 통해 은행·증권회사·보

험회사 등 1개 이상의 금융회사를 자회사로 소유하고 경영하는 지주회사를 의미한다. 금

융지주회사가 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 대주주요건, 재무 및 경영관리 등에 필요한 요건

을 갖추고,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2017년 12월 기준 금융지주회사로는 KB금

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한국투자금융지주(이상 은행지주회

사),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이상 지방은행지주회사), 메리츠금융지주

(보험지주회사) 등 9개가 있다. 

들여다보기

금융지주회사란 무엇인가? 

41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1

2018-02-19   오전 11:13:51


background image

금융유관기관

04

SECTION

1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의 설립 목적은 금융산업을 선진화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도모

하며, 건전한 신용질서, 공정한 금융거래관행 확립과 예금자 및 투자자 등 금융수

요자를 보호함으로써 국민경제에 기여하는 데 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감독기구

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은행감독원,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신용관리

기금 등 기존 

4개 감독기관이 통합되어 1999년 1월에 설립되었다. 그 후 2008년 

2월에 개정된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현재의 금융감독원

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금융감독원은 정부조직과는 독립된 특수법인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금융감독 

업무와 관련하여 금융감독기구가 정치적 압력 또는 행정부의 영향력에 의해 자율

성을 잃지 않고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금융감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금융

회사에 대한 감독업무, 이들 회사의 업무 및 재산상황에 대한 검사와 검사결과에 

따른 제재업무, 금융분쟁의 조정 등 금융소비자 보호업무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금융감독을 크게 구분하면 시스템 감독, 건전성 감독 그리고 영업행위 감독으

로 구분할 수 있다. 시스템 감독은 경제 전반에 걸친 금융혼란에 대비하여 금융시

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건전성 및 영업행위 감독보다 넓

은 개념이다. 건전성 감독은 개별 금융회사의 재무제표의 건전성, 자본적정성 및 

각종 건전성 지표를 통해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감독하는 것이고, 영업행위 감독

은 금융회사가 소비자들과의 거래에서 공시(公示), 정직, 성실 및 공정한 영업관행

을 유지하고 있는지 감독하는 것으로 소비자 보호 측면에 중점을 둔 것이다. 

금융회사의 검사는 금융회사의 현장에서 규제준수 여부를 점검하는 임점검사

(

on-site examination)

와 금융회사가 제출한 업무보고서에 근거한 상시감시를 병행

한다. 또한 자본시장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불공정거래나 보험사기 조사업무도 

수행한다.

이 외에도 금융감독원은 소비자가 직접 제기하는 민원의 상담, 조사 및 분쟁조

정 절차를 담당하여 금융소비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4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2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2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으로 화폐를 독점적으로 발행하는 발권 은행

이다. 화폐의 발행 외에 한국은행이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물가안정을 위해 통

화신용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채택하고 있는 통화정책 운

영체제는 물가안정목표제이다. 물가안정목표제는 통화량 등의 중간목표를 두지 

않고 정책의 최종 목표인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하고 중기적 시계에서 

이를 달성하려 하는 통화정책 운영방식이다.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정하고 여타 통화신용정책

에 관한 결정을 내린다.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의 통화신용정책에 관한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정책결정기구로서 한국은행 총재 및 부총재를 포함하여 

총 

7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한국은행은 금융안정에도 노력하고 있다. 금융회사를 상대로 예금을 받아 금

융회사 고객의 예금인출에 대비한 지급준비금 등으로 이용하고 금융회사에 대출

자료 : 한국은행

그림 2-2   물가안정목표 및 대상물가지표 상승률 

근원물가

소비자물가

물가안정목표(범위)

(전년동기대비, %)

7

7

6

6

5

5

4

4

3

3

2

2

1

1

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0

물가안정목표

물가안정목표 중심치

43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3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을 해주며 자금부족에 직면한 금융회사가 순조롭게 영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

는 등 은행의 은행이며 국민이 정부에 내는 세금 등 정부 수입을 국고금으로 받

아 두었다가 정부가 필요로 할 때 자금을 내주는 정부의 은행이기도 하다. 또한 

2004년 1월 개정 한국은행법에 의거하여 지급결제시스템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

로 운영해야 하는 책무도 부여받았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지급결제제도 운영 

및 관리규정의 개정, 지급결제시스템에 대한 안정성 및 효율성 평가, 지급결제리

스크 감축을 위한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해오고 있다.

3

예금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는 

1996년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하여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

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하고 금융제도

의 안정성을 유지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예금보험제도를 통해 금융회사의 

보험료, 정부와 금융회사의 출연금, 예금보험기금채권 등으로 예금보험기금을 조

성해두었다가 금융회사가 고객들에게 예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신 지급

해주는 것이 주요 업무이다. 

동 기금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회사의 경영분석 등을 통해 부실 가능

성을 조기에 파악하고 있으며, 부실금융회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하여 금융시

그림 2-3   예금보험의 운영구조

예금보험료 납부

예금지급불능

예금보험금 지급

예금보험공사

고객

금융회사

4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4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스템을 안정화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다만 예금보험공사에서 보호하는 금융회사는 은행, 증권투자매매·중개업을 

인가받은 회사(증권사, 선물사, 자산운용사 등), 보험회사, 상호저축은행, 종합금융회

사 등이다. 따라서 농협은행 및 수협은행 본·지점의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

라 예금자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포함하여 

1인당 5천만원까지 보호되지만 농·수

협 지역조합의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른 보호대상이 아니며 대신, 각 중앙회

가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는 「상호금융예금자보호기금」을 통하여 보호하고 있

다. 신용협동조합과 새마을금고도 각 신용협동조합중앙회에 설치된 예금자보호

기금과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설치된 예금자보호준비금에 

의해 

1인당 5천만원까지 예금을 보호한다. 

외화표시예금은 

2008년 11월 3일부터 원화로 환산한 금액 기준으로 예금자 1

인당 

5천만원 범위 내에서 보호된다. 또한 기업 등 법인의 예금도 개인예금과 마

찬가지로 법인별로 

5천만원까지 보호된다. 다만, 정부·지방자치단체·한국은행·

금융감독원·예금보험공사 및 부보금융회사의 예금은 보호대상에서 제외된다.

4

신용회복위원회

신용회복위원회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신용회복지원의 극대화를 통하여 채무

불이행자의 경제적 재기를 지원하고 가계의 파산을 예방하며 서민의 금융 상담과 

신용교육을 전담하는 신용관리전문기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빚이 너무 많아 정상적으로 상환하기 어려운 개인들을 대상으로 상환기간 연장, 

분할상환, 이자율 조정, 상환유예, 채무감면 등의 방법으로 상환조건을 변경하여 

경제적으로 재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일대일 심층 상담으로 채무와 신용

문제에 대한 종합진단을 해서 정상적으로 채무를  상환할 수 없는 개인에게는 개

인워크아웃과 프리워크아웃 제도를 통해 신용회복을 도와주고 있다. 아울러, 법

원과의 업무연계로 개인회생, 파산면책 신청도 지원하고 있다. 과중한 채무와 신

용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채무자들은 신용회복위원회 웹사이트를 통해 채무

재조정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45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5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5

전국은행연합회

전국은행연합회는 시중은행 및 특수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국내지점을 사원

은행으로 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금융회사 상호간의 업무협조와 금융문제의 

조사연구 및 은행업무의 개선을 통하여 금융 산업의 발전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

되었다. 주요 업무는 사원은행의 경영 개선 및 현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제안, 금융회사 거래처에 대한 신용정보의 집중관리 및 평가 업무 등이 있다. 

6

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생명보험업계와 보험가입자의 권익을 보

호하고 건전한 보험문화를 확산하며 합리적인 보험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등 생명

보험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생명보험 관련 정책지원 및 제도개

선, 보험업법 등 생명보험 관련 법령의 연구 및 개정건의, 모집제도의 개선 및 연

구, 설계사의 등록 및 말소업무 등을 담당한다. 

7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는 비영리 특수법인으로 회원 상호 간의 업무질서 유지 및 공정한 

거래를 확립하고 투자자를 보호하며 금융투자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설립되

었다. 회원의 영업행위와 관련된 분쟁의 자율조정 및 투자자 보호에 관한 업무와 

금융투자회사의 약관 검토 및 투자광고의 자율심의, 비상장주권 등의 장외시장을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8

여신금융협회

여신금융협회는 신용카드업, 시설대여업, 할부금융업, 신기술사업금융업을 영

위하고 있는 여신전문금융회사를 회원으로 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여신전문

4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6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금융에 대한 연구개발과 홍보를 통하여 여신전문금융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함

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서 신용카드가맹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여신전문

금융업무에 대한 교육 등을 담당한다.

9

서민금융진흥원

2016년 9월 「서민금융생활지원법」 시행과 함께 설립된 서민금융진흥원은 서민

금융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채무조정 및 정책자금지원 정

보 뿐만 아니라 민간 서민금융상품 정보 등도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원스

탑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자체, 고용·복지 센터 등과 연계를 강화하여 금융

지원, 취업지원, 복지서비스 안내 등을 결합한 종합상담을 제공한다. 또한 현장 

방문이 어려운 서민에 대해서는 통합콜센터 운영(1397), 찾아가는 상담서비스(전통

시장, 임대아파트 등)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서민금융진흥원은 서민금융 지원을 

위한 주요 재원인 휴면예금의 효율적이고 공정한 관리·운용을 위해 휴면예금관

리위원회를 두고 있다.

47

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7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학습내용정리

S u m m a r y

  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에는 대출상품, 저축상품, 펀드, 보험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금융상품은 투자성이 있는 금융투자상품과 투자성이 없는 비금융투자상품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투자성이란 투자한 원금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금융시장은 단기와 장기, 간접금융과 직접금융,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등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  

   단기금융시장에서는 콜, 기업어음, 양도성예금증서 등이 거래되며, 장기금융시장에서는 회사채, 국채, 

통화안정증권, 주식 등이 거래된다.

   금융회사는 은행이나 비은행 예금기관처럼 예금을 받을 수 있는 회사와 예금을 받을 수 없는 회사로 

구분할 수 있다. 

   비은행 금융회사 중 금융투자회사는 업무의 종류나 범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투자매매, 

투자중개, 집합투자, 투자자문, 신탁업 등의 업무가 있는데 어떤 회사들은 모든 업무를, 어떤 금융회사

들은 이 중에 일부만 특화하여 영업을 한다.

   금융회사 중에서는 여신전문 금융회사나 대부업체처럼 수신 기능은 없고 스스로 자본을 조달하거나 대

출을 받아서 영업하는 회사들도 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산업을 선진화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며, 건전한 신용질서, 공정한 금융거

래관행 확립과 예금자 및 투자자 등 금융수요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예금보험공사는 1996년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하여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

우 예금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하고 금융제도의 안정성을 유지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

이다.

4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8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01

 금융시장은 금융상품의 만기에 따라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럼 단

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금융자산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02

 은행의 주요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금융투자회사와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03

 그동안 저축한 돈을 A은행에 넣어 두었다. 그런데 신문보도를 보니 A은행이 B은행에 합병된다고 

한다. 그럼 저축한 돈은 어떻게 되는 걸까? 빨리 A은행에서 돈을 인출하여 다른 은행으로 옮겨야 

하는 걸까? 이 상황의 올바른 대응방식을 설명하시오.

예시문제

E x e r c i s e

49

2장금융상품과금융시장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49

2018-02-19   오전 11:13:52


background image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0

2018-02-19   오전 11:13:54


background image

저축의 이해

03

01 소득, 소비, 저축
02 저축의 가치
03 저축상품
04 예금자보호제도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1

2018-02-19   오전 11:13:59


background image

저축의 이해

본 장에서는 금융상품 중 저축상품의 의의와 종류, 특징 및 선택시 고려사항과 예금자보호제
도에 대해 살펴본다.

 저축의 의의를 설명하고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 세금이 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저축상품의 종류를 나열하고 그 특징을 비교·선택할 수 있다. 
 예금자보호제도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학습개요

학습목표

03

팍팍쓰면 스튜핏(Stupid), 저축하면 그뤠잇(Great)?

● 美 경제학자 로버트 솔로, 저축 예찬론 

저축이 미래를 대비하는 동시에 투자의 기회를 거머쥐는 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

는 점에서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소비를 지양하고 저축을 지향하는 경제 습관

이 반드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을까.

학계의 이론을 먼저 살펴보자. 소비보다 저축을 강조한 대표적인 학자는 미국의 경

제학자 로버트 솔로(93)다. 1987년 경제성장이론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솔로는 장

기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개별 노동자들의 소득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생

산량이 증가해야 하며,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는 저축률이 충분히 높아야 한다고 주장

했다. 예컨대 저축률이 낮으면 생산을 통해 얻은 재화나 서비스를 투자보다 소비로 많

이 소진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나라의 생산 설비가 점차 줄어 경제 규모가 

감소하고 국민의 소득수준도 악화된다는 것이다.

반대로 저축의 이면을 강조한 대표적인 학자는 영국의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

스(1883~1946)다. 그가 제기한 ‘저축의 역설’은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려 

부를 축적하는 과정이 오히려 내수를 줄이고 경제활동을 저하시켜 경제를 총체적 불황

으로 몰고 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실제 국가 경제를 예로 들어 보면 저축의 두 얼굴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독일과 스위스는 높은 저축률 덕분에 혜택을 보는 국가로 꼽

힌다.

C

H

A

P

T

E

R

생각

열기

5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2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세계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브라질과 인도는 높은 관세를 매기고 있음에도 무역적자

가 지속되는 반면 독일과 스위스는 관세가 낮지만 흑자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3월 16일자 보도에서 독일과 스위스가 낮은 관세에도 흑

자를 내는 것은 높은 저축률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저축이 많기 때문에 외국으로부터

의 자금 유입 없이도 소비와 투자 자금을 확보해 물품을 생산하고, 이를 외국에 팔아 

흑자를 낸다는 것이다. 

현재는 하락하는 추세이나 과거 ‘저축왕’으로 불린 중국도 높은 저축률 덕분에 금

융 충격을 피했다는 분석이 있다. 모건스탠리는 지난 2월 ‘왜 우리가 중국 경제에 강세 

전망을 하는가’라는 보고서에서 “중국은 높은 저축률과 경상수지 흑자, 외환보유액으

로 금융 충격을 피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의 가계저축률은 30%로, OECD 회원국  

1위인 스위스보다 높은 수준이다. 

● 합리적 소비·저축 고민해야 

반면 한국은 높은 저축률 때문에 울상인 국가 중 하나다. 한국의 2016년 가계저축률

은 OECD 국가 중 5위인 8.66%다. 저축률이 오르면 기업은 은행으로부터 가계가 저축

한 돈을 빌려 투자를 하고 고용을 늘려 결국 가계소득 증가의 선순환이 일어난다는 것

이 일반적인 이론이다. 개인의 저축이 단순히 가계의 부를 늘리는 미덕만이 아니라 국

가 경제 차원에서도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시켜 준다.

하지만 성실하고 근면한 개인이라도 늘어나는 통장 액수에 큰 만족감을 느낄 수만

은 없는 상황이다. 최근의 가계저축률 상승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소비를 줄

인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많다. 은행에는 돈이 계속 쌓이고 있지만, 소규모 중소기

업들에게 은행 문턱은 높기만 하니 기업의 신규 고용 창출이나 국가 경제 차원의 총생

산성 증가는 요원한 일이 된다. 게다가 일부에서는 개인들이 저축을 선택할 경우 소비 

감소를 부추겨 경기 불황을 일으키는 주범인 양 내모는 비판까지 쏟아내니 그저 성실

하게 근검절약하는 개인으로서는 억울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대기업이 투자하지 않

고 고용을 늘리지 않은 채 쌓아 놓은 사내유보금 규모만 200조원인 세상에서 말이다.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개인의 저축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저축에 역

설이 있듯 소비에도 ‘그레이트’가 있다.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합

리적인 소비와 저축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필요하다. 물론 그에 앞서 자신들만의 이익 

추구를 최우선의 가치로 삼은 채 경제 주체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은행과 대기업 

등의 각성이 절실한 건 ‘안 비밀’이다.

[서울신문, 2017.9.15, 송혜민 기자]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저축을 해본 경험이 있다면 공유해보자.
 합리적인 저축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의사결정의 과정이 필요할까?

53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3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소득, 소비, 저축

01

SECTION

1

소득과 경제활동

소득은 경제활동을 통하여 얻는 대가를 의미하며, 경제활동의 종류에 따라 근

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근로소득은 자신

의 용역, 즉 근로를 제공하고 그 보상으로 받은 봉급, 급료, 보수, 세비, 임금 상

여, 수당 및 이와 유사한 급여 등을 의미하며, 재산소득은 금융자산이나 부동산에

서 발생하는 이자나 수익, 배당금, 임대료 등이다. 사업소득은 독립적인 사업자의 

위치에서 영리 목적의 경제활동에서 발생하는 소득이며, 이전 소득은 특정 반대

급부 없이 타인으로부터 이전 받은 소득이다. 

표 3-1

  우리나라 평균 월소득 현황

구분

금액(원)

소득

4,537,192

   경상소득

4,451,898

        근로소득

3,066,965

        사업소득

915,875

        재산소득

18,820

        이전소득

450,239

   비경상소득

85,294

비소비지출

863,659

가구원수

3.10

가구주연령

51.76

(자료 : 통계청, 2017년 3분기)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약 450만원이나 실제 가계가 

지출할 수 있는 소득은 이보다 적다. 이는 세금 및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등에 

납부하는 비소비지출 때문이다. 가계가 벌어들인 소득에서 이러한 세금 등을 제

외하고 실제 지출할 수 있는 소득을 가처분 소득이라고 하며, 지출관리 등을 할 

때에는 자신의 가처분 소득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5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4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2

소비와 저축

현명한 소비

개인이 경제활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소비이다. 인간의 행복은 소득 

그 자체보다 번 돈으로 할 수 있는 많은 활동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는 맛있는 것

을 먹고, 멋있는 것을 입고, 아늑한 공간을 마련하고, 즐거운 여가활동을 하는 등 

다채로운 소비활동을 하며 즐거움을 찾는다. 그러나 이러한 소비를 가능하게 하

는 소득이 한정적이므로, 자신의 행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소비생활

을 영위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과연 합리적인 소비란 무엇일까? 전쟁을 겪은 기성세대와 이후 젊은 세

대의 소비와 관련된 가치관을 비교해 보면 기성세대는 상품을 고를 때 값싸고 품

질이 좋으며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을 고르는 반면, 젊은 세대는 비싸더라도 

자신의 기호에 맞는 개성있는 상품을 고른다. 또한 기성세대가 저축이 우선이라

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면 젊은 세대는 소비가 우선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두 세대의 가치관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지

표 3-2

  21세기 가치관의 변화 

지금까지의 가치관

지금부터의 가치관

물질적 풍요를 추구(생활의 편리성)

정신적 풍요를 추구(생활의 문화성)

저축 우선

소비 우선

일정 수준에 속함으로써 만족(중류의식)

타인과의 차별성에서 만족(개성중시)

선악의 판단기준이 중요(세상의 상식)

좋고 싫음의 판단기준이 중요(자기기준)

값싸고 품질이 좋으며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상품

비싸더라도 자신의 기호에 맞는 개성있는 상품

타인과의 화합이 중요

개인의 자유 중시

여가는 업무 후

여가가 전제된 업무 또는 업무와 양립

문자(논리) 정보 중시

화상(감성) 정보 중시

종신고용주의(연공서열)

필요시 전직(능력위주)

노동은 미덕

노동은 즐기기 위한 필요조건

남녀 분업

남녀 동등

낮에는 근무, 밤에는 휴식

원하는 시간에 근무

자녀 중시

자녀는 여유가 있을 때만

기업이 발전해야 개인이 발전(기업중시)

개인의 행복을 전제로 기업발전(개인중시)

 출처 : 문숙재와 여윤경(2001),  『소비자 트렌드 21세기』

55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5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만 어느 것이 더욱 합리적인 소비가치관인지는 알 수 없다. 왜냐하면 두 세대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적 환경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개인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

도 바뀌었기 때문이다. 

산업발전이 성숙단계에 접어들고, 물질이 풍요로운 환경에서 살아온 젊은 세

대에게는 값싸고 품질 좋은 상품보다 나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결정일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생산 활동이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행복 증진에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열악한 노동환경과 저질의 상품 생

산 등으로 해를 가한다면 적극적인 보이콧(boycott)1 등을 통해서라도 해당 기업에 

압력을 가하는 것이 현대적인 소비의 행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를 막론하고 개인이 꼭 지켜야 할 소비 원칙이 있

다면, 바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인 및 사회에 도움이 되는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단해 보이지만 이 원칙에는 상당히 많은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첫째, 장기적인 관점이란 소비자가 오늘의 소비뿐만 아니라 내일의 소비도 고

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상당한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미래에는 직

업을 잃고 불안한 삶을 살게 될지 모른다.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에서 내일의 소

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저축’이다. 저축을 충분히 하기 위해서는 우선 ‘과소비, 

충동소비, 중독소비’ 등을 지양해야 한다. 과소비란 자신의 소득 역량을 넘어서는 

소비를 말한다. 사전에 구매계획 없이 순간적인 욕구에 따라 물품을 구입하는 충

동소비나 구매 행동 자체에 과도하게 집착하여 강박적으로 구매하는 중독소비가 

그 원인일 수 있다. 충동적으로 발생하는 과소비 등을 적절히 통제하고, 지출계획

을 수립하여 알맞게 저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두 번째, 개인에게 도움이 되는 소비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본인의 기호나 행

복과는 무관하게 타인의 소비를 그대로 따라하는 모방소비를 지양해야 한다. 최

근 영화나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이 

PPL(Product PLacement)2로 몸살을 앓는 이

유는 현대 소비자가 모방소비에 상당히 취약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연예인을 모방하여 액세서리, 옷, 전자기기, 자동차 등을 구입하는 경우도 많은

데, 이러한 모방소비가 과소비로 이어진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세 번째, 사회에 도움이 되는 소비란 우선 이기적이지 않은 소비여야 함을 의

미한다. 적극적인 의미의 비이기적인 소비는 최근 공정무역 등으로 대표되는 이

타적인 소비를 말한다. 물품의 생산과정이 인권이나 환경 보호와 배치되지 않고, 

1  보이콧

부당한 행위에 대항하기 위
해 조직적이고 집단적으로 
벌이는 거부운동을 의미하는
데, 소비자의 보이콧은 주로 
문제가 있는 물품에 대한 불
매운동을 의미한다. 

2  PPL
간접광고의 일종으로 영화나 
드라마 속에 소품으로 등장
시켜 상품의 기능이나 디자
인, 이미지 등을 관객들에게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

5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6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공정한 거래를 토대로 이루어지거나 장애인이나 저소득층 등 약자를 배려하는 목

적의 사업 물품을 구매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소극적인 측면에서 비이기적인 소

비란 합리적인 소비의 실천으로 가격, 성능, 디자인 등의 비교를 통해 좋은 물품

을 알맞게 구매하는 행위이다. 이를 통해 사회에 필요한 좋은 물건이 생산되고, 

불필요한 물건은 도태되어 사라짐으로써 귀중한 사회적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현명한 소비생활을 위해서는 자신의 기호는 물론 사회적 가치관과 더불

어 소비의 원칙을 고려하여 무엇이 현명한 지출 의사결정인지 고민해야 한다. 

3

저축과 투자

저축은 현재의 소비를 포기하고 미래로 소득을 이전하는 것이다. 사전적으로 

‘절약하여 모으다, 아껴서 쌓아두다’라는 저축(貯蓄)의 개념 속에는 투자활동도 포

함되어 있다. 투자 또한 현재의 소비를 포기하고 미래에 소비를 하려는 것이기 때

문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저축을 원금손실이 없는 ‘예금’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관점에서 저축은 투자에 비해서 불확실성이 매우 적은 자산축

적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저축의 목적은 예정된 일자에 이자 및 원금을 확실하게 회수하여 계획했던 미

래 소비에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소비를 미룬 대가로 지급되는 이자의 크기가 점

차 줄어들고 있지만, 확실한 미래 현금흐름이 보장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반면 투자는 미래의 현금흐름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저축으로 발생하는 이자보

다 더 많은 수익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원금손실을 볼 수도 있으며, 수익

이 발생하더라도 얼마가 발생할지 확신할 수 없다. 뒤에서 좀 더 상세하게 논의 

되겠지만, 투자에 수반되는 미래 불확실성을 금융에서는 리스크(risk)라고 부른다. 

따라서 투자에는 반드시 리스크가 수반되고, 투자의 종류에 따라 리스크의 크기

도 다르게 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가 고착화되기 시작하면서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저

축보다는 어느 정도 리스크를 감당하더라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투자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0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는 은행의 

57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7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정기예금 금리가 평균 

12% 전후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1%대로 떨

어졌다. 이러한 저금리는 저축을 통해 목돈을 모으는 것을 어렵게 하고, 모은 돈

으로 노후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힘들게 만든다.

30년 후 필요한 노후자금을 5억원이라고 보고 이를 매달 일정액의 저축을 통

해 모으려고 할 경우, 금리 수준에 따라 저축액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살펴보

자. 아래 표에서 보듯이 금리가 

1%이면 매월 저축액이 1,191,531원이 되어야 하

고 

5%라면 거의 반인 600,775원이 필요하며, 과거 우리나라 평균 예금금리였던 

12%를 가정하면 매월 저축액이 143,063원으로 크게 감소한다. 결국 30년 동안 

동일한 

5억원을 모으는 데 필요한 저축액이 금리가 하락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증

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3

  금리 수준에 따라 30년 후 5억원을 모으기 위해 필요한 월 저축액(원)

금리 수준

1%

2%

3%

5%

7%

10%

12%

월 저축액 1,191,531 1,014,764 858,020

600,775

409,846

221,191

143,063

이번에는 이렇게 모은 

5억원을 은행에 맡겨두고 20년 동안 원리금을 매월 일정

액씩 찾아서 노후생활자금으로 쓴다고 가정하고, 금리수준에 따라 매달 쓸 수 있

는 돈이 얼마인지 알아보자. 아래 표에서 보듯이 금리가 

1%이면 매월 인출액이 

2,299,472원, 2%라면 2,529,417원이 되고, 5%인 경우는 3,299,779원씩을 찾아 

쓸 수 있으며, 과거 우리나라 평균 예금금리였던 

12%를 가정하면 5,505,431원으

로 월 인출액이 크게 증가한다.결과적으로 저금리 시대에는 노후대책을 위해 모

아두어야 할 자금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표 3-4

  원금 5억원을 20년간 매월 일정금액을 인출할 때 금리에 따른 인출가능금액(원)

금리 수준

1%

2%

3%

5%

7%

10%

12%

월 저축액 2,299,472 2,529,417 2,772,988 3,299,779 3,876,495 4,825,108

5,505,431

3

물론 금리는 어느 정도 예상 
인플레이션을 반영하기 때문
에 과거 고금리 시대에는 그
만큼 인플레이션도 심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매달 500
만원 이상을 인출해서 20년 
동안 사용하더라도 고금리 
시대에는 시간이 갈수록 인
플레이션으로 인한 구매력 
감소가 저금리 시대에 비해 
더욱 심해진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인플레이
션 효과까지는 반영하지 못
하고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5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8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저축의 가치

02

SECTION

1

저축과 이자

이자는 기간이 

1년인 경우에는 단순히 원금에 이자율을 곱하여 나온 값을 이자

금액으로 한다.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는 이자율을 곱하는 원금을 어떻게 보

느냐에 따라 단리(單利)와 복리(複利)로 구분할 수 있다.

단리

단리는 일정한 시기에 오로지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한 이율을 적용하여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때 발생하는 이자는 원금에 합산되지 않기 때문에 이자에 

대한 이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금에만 이자가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단

리계산은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FV = PV × [1 + (r × n)]

여기서, 

FV = 미래가치

 

PV = 현재가치

 

r = 수익률 (연이율)

 

n = 투자기간 (연 단위)

 100  4%  3     ?

1,000,000(1+(0.04

3))=1,120,000

, 100 3

    1,120,000 

.

복리

저축과 투자를 통한 재테크와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복리의 위력이다. 

복리란 중복된다는 뜻의 한자어 복(復)과 이자를 의미하는 리(利)가 합쳐진 단어로

서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다는 뜻이다. 따라서 원금과 이자가 재투자된다

59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59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는 가정하에 복리계산(compounding)은 다음과 같이 된다.

FV = PV × (1 + r)

n

여기서,  

FV = 미래가치

   

PV = 현재가치

   

r = 수익률 (연이율)

   

n = 투자기간 (연 단위)

 100  4%  3     ?

1,000,000(1+0.04)

3=1,124,864

, 100 3

    1,124,864 

.

단리 vs. 복리

같은 금액, 같은 이자율 수준이라도 적용 이자계산법이 단리이냐, 복리이냐에 

따라 원리금이 크게 달라지며, 그 기간이 길어질수록 차이가 급격히 벌어지게 된

다. 다음 <그림 

3-1>은 100만원을 연 4%의 이자율로 저축한 경우, 자산이 10년

마다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단리의 경우는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지만 

복리의 경우 기간이 길어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그 금액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100만원을 연 4% 이자율로 굴릴 때, 단리는 50년 후에 약 300만원이 되어 있지만 

복리는 

710만원에 달하여 2배 정도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복리의 위력은 이자율의 차이가 매우 적어도 운용기간이 길어지면 발

생한다. <그림 

3-2>는 100만원을 30년 동안 운용할 경우, 연 이자율이 각각 4%, 

8%, 12%일 때, 자산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복리 적용시 운용결과가 이자율에 단순 비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이

자율이 연 

4%에서 두 배인 연 8%가 되었을 때, 초기 100만원이었던 자산은 3백

만원이 

1천만원으로 약 3배이상 증가하고, 다시 이자율이 연 12%가 되면 자산은 

거의 

30배인 2천 9백만원이 된다. 따라서 장기로 자금을 운용할 경우에는 단 1%

의 이자율 차이도 적지 않은 결과의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6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0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그림 3-1   기간에 따른 단리와 복리 비교(100만원을 연이자율 4%로 저축) 

(단위: 천원)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현재

1,000 1,000

단리
복리

1,400

1,800

2,191

2,200

3,243

2,600

4,801

3,000

7,107

1,480

10년

20년

30년

40년

50년

그림 3-2   이자율에 따른 단리와 복리 비교(자금 운용기간 30년 동일) 

(단위: 천원)

30,000

20,000

10,000

단리
복리

2,200

3,400

10,062

4,600

29,960

3,243

4%

8%

12%

61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1

2018-02-19   오전 11:14:00


background image

2

저축과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란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동일한 화폐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들기 때문에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앞

서 저축은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이전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는데, 인플레이션율이 

72의 법칙은 복리를 계산해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시기를 손쉽게 알아볼 수 있는 법칙이

다. 공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다.

72/금리 =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시기(년)

예를 들어, 100만원의 돈을 연 5%의 복리상품에 넣는다고 치자. 원금의 2배인 200만

원으로 불어나는 시간은 얼마가 걸릴까?

답은 14.4년이다. (72/5=14.4)

목표수익률을 정할 때도 72의 법칙을 활용할 수 있다. 만일 10년 안에 원금이 두 배가 

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수익을 내야 할까? ‘72 나누기 10(년)’을 하면 답은 7.2%(년)가 나

온다. 이러한 72법칙을 이용하면 원하는 목표수익률 및 자금운용기간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위에서 언급한 복리는 정기예금에서 운용이 되며, 적금은 단리로 계산이 되므로 적

금으로 어느 정도 목돈이 생기면 정기예금으로 전환하여 복리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 효율

적이다. 장기상품을 선택할 때는 복리가 큰 위력을 발휘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여야 한다.

들여다보기

 72의 법칙

6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2

2018-02-19   오전 11:14:02


background image

상당히 높다면 저축한 돈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소비를 미래로 이전하기 어려워진

다. 예를 들어 볼리비아에서는 

1984년에 물가가 27배 올랐다. 1월 1일에 100원짜

리 연필이 

12월 31일에는 2,700원이 되어 있다는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 1월 1일

에 

100만원을 연이자율 10%로 저축했다면 어떻게 될까? 12월 31일에 저축원리

금은 

110만원이 되어 있겠지만 그 돈의 가치는 형편없이 낮아져 있을 것이다. 가

령 

1월에는 100만원으로 연필 1만 개를 살 수 있었지만 12월 31일에는 110만원

의 불어난 돈으로도 약 

407개의 연필밖에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저축의 가

치는 인플레이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저축과 세금

금융거래 및 금융상품 매매에는 세금이 부과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자소득을 

포함한 금융소득에 대해서 분리과세를 통해 금융회사가 일률적으로 

14%(지방소득

세를 포함하면, 

15.4%)

를 원천징수하고 나머지를 지급한다. 금융상품 중에는 이자 또

는 배당에 대해 과세되지 않는 비과세상품이나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세금우대상

품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품은 한시적으로 일부 계층에게 제한적으로 허용되

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비과세상품으로는 장기저축성보험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장기저축성보험은 장기저축을 유도하기 위해 

5년 이상 

납입하고 

10년 이상 예치한 경우 발생한 보험차익에 비과세하는 상품이다. 이와 

같이 금융상품별로 서로 다른 과세 기준을 잘 살펴보고, 적용 세율을 감안하여 최

대한 절세상품을 찾는 노력도 중요하다. 

저축상품

03

SECTION

1

저축상품의 개요

가장 대표적인 저축상품은 예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금을 취급할 수 있는 

금융회사가 정해져 있다. 은행을 위시하여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새마을 

금고, 농·수·축협, 종합금융회사, 우체국예금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63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3

2018-02-19   오전 11:14:02


background image

예금은 크게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구분된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자의 

지급 청구가 있으면 조건없이 지급해야 하는 예금으로 고객의 지급결제 편의 도

모 또는 일시적 보관을 목적으로 한다. 당좌예금, 보통예금, 공공예금, 국고예금 

등이 요구불예금에 속한다. 저축성예금은 저축 및 이자수입을 주된 목적으로 하

며 예금의 납입 및 인출방법에 대해 특정 조건이 있는 기한부 예금이다. 정기예금

과 금전신탁과 같은 거치식 예금과 정기적금과 같은 적립식 예금이 저축성예금에 

속한다. 그 밖에 특정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재산형성저축이나 주택청약종합저축 

등도 저축성예금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예금은 일부 특정인 또는 기업에만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누구나 

앞서 언급한 예금취급금융회사에 가서 통장을 개설하면 거래할 수 있다. 다만, 우

리나라는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금융거래는 반드시 

실명으로 거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금통장을 개설할 경우에도 반드시 본

인임을 확인하고 거래하도록 되어 있고, 본인 명의 통장을 타인에게 대여하는 소

위 ‘대포통장’은 불법이기 때문에 이를 빌려주는 측과 빌려서 사용하는 측 모두 처

벌을 받게 된다. 특히 최근 취업난, 등록금 부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

생의 현실을 이용하여 대포통장을 빌려주거나 또는 전달, 제

3자에게 운송하는 등

의 대가로 금전을 지급한다는 유혹이 많은데 절대 이에 응해서는 안 된다.

통장의 명의자와 사용자가 다른 통장을 대포통장이라고 한다. 대포통장이 금융사기 등 

범죄행위에 악용되는 경우 통장을 사용한 사기꾼 등은 물론 통장주인에게도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으므로 본인의 예금통장 관리에 스스로 주의해야 한다.

대포통장을 이용한 금융사기의 주요 사례는 ‘고액알바’ 등의 문구로 대학생 및 취업준

비생 등을 모집한 후 사기로 모은 돈을 인출하거나 송금하는 역할을 시키거나, 사례금을 

지불하겠다며 예금통장을 건네받아 대포통장으로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처럼 통장

을 대여하거나 양도하여 대포통장으로 이용되면 빌려줄 당시에 통장이 범죄에 악용될 것

을 몰랐다 하더라도 통장 주인은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으며, 신규통장 개설이 제한되거나 인터넷뱅킹과 같이 은행창

구를 이용하지 않고 금융거래를 하는 비대면 거래를 할 수 없는 등 어려움을 겪을 수 있

다. 따라서 앞으로 활발한 사회생활을 시작해야 하는 대학생 입장에서 잠깐의 사기범의 

유혹에 빠져 각종 금융생활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도록 통장관리에 유의하도록 하자.

들여다보기

예금통장을 빌려주는 것은 범죄행위

6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4

2018-02-19   오전 11:14:02


background image

2

요구불예금

보통예금

보통예금은 거래대상, 예치금액, 예치기간, 입출금 횟수 등에 아무런 제한 없

이 누구나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예금이다. 예금자 입장에서는 생활자금과 수

시로 사용해야 하는 일시적인 유휴자금을 예치하는 수단이 되고, 예금기관의 입

장에서는 저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재원이 된다.

MMDA

MMDA는 입출금이 자유롭고, 각종 이체와 결제도 할 수 있으며, 예금자보호법

에 의하여 

5,000만원 한도 내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은 고객이 은행에 

맡긴 자금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얻은 이익을 이자로 지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실세 금리를 적용하게 된다. 단, 취급하는 금융회사에 따라 

500만원 미만의 

소액이거나 법인의 경우 예치기간이 

7일 미만일 때는 이자율이 낮거나 없을 수도 

있다. 가입대상에 제한이 없어서 일시적인 목돈을 운용하는 데 적합하다는 장점

을 지닌다. 

MMDA와 유사한 상품으로 자산운용사의 MMF(money market fund)와 증권사 또

는 종금사에서 취급하는 

CMA(cash management account)가 있다. MMF는 고객의 돈

을 모아 주로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RP(환매조건부채권), 콜(call)자금이나 

안정적인 국공채로 운용되는 실적배당상품이다. 

MMF는 은행뿐 아니라 증권회사

에서도 취급한다. 

MMF의 최대 장점은 가입 및 환매가 청구 당일에 즉시 이루어

지므로 입출금이 자유로우면서 실적에 따라 수익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다만, 계

좌의 이체 및 결제 기능이 없고, 예금자보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CMA는 자금

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실적배당을 한다는 점에서는 

MMF와 유사하지만, 

MMDA처럼 이체와 결제 그리고 자동화기기(ATM)를 통한 입출금 기능을 갖고 있

표 3-5

  MMDA, MMF, CMA 비교 

상품명

취급금융회사

예금자보호

이율

이체 및 결제

MMDA

은행

보호

확정금리(차등)

가능

MMF

은행, 증권사

비보호

실적배당

불가능

CMA

종금사, 증권사

종금사만 보호

실적배당

가능

65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5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다. 종합금융회사의 

CMA는 예금자보호 대상이 되지만 증권회사의 CMA는 그렇

지 않다.

3

저축성예금

정기예금

정기예금은 예금자가 이자수취를 목적으로 예치기간을 사전에 약정하여 일정 

금액을 예입하는 기한부 예금이다. 정기예금은 저축성이 강한 예금으로서 우리나

라 전체 예금 잔고 가운데 

5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금이다. 특히,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특수한 형태의 금융상품으로 양도성예금증서(CD: 

certificate of deposit)4

라는 것이 있는데, 무기명으로 거액의 부동자금을 운용하는 수

단으로 자주 활용된다.

정기적금

정기적금은 계약금액과 계약기간을 정하고 예금주가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면 만기에 계약금액을 지급하는 적립식 예금이다. 정기적금은 당초 서민의 

저축의식을 고취하고 계(契)와 같은 사금융 저축을 흡수하여 건전한 재산형성을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은 예치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보통예금보다 이자가 많

지만 유동성은 낮다. 만기이전에 해약을 하게 되면 약정한 이자보다 훨씬 낮은 이

자를 지급받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자가 없을 수도 있다.  

표 3-6

  예금은행 평균 예금금리 

(단위: %, 신규취급액 기준)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예금금리

3.69

3.43

2.71

2.42

1.72

1.47

   정기예금

3.69

3.43

2.70

2.42

1.72

1.47

   정기적금

3.72

3.65

3.06

2.66

1.99

1.67

자료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4  양도성예금증서

양도성예금증서는 최소 발
행단위가 1,000만원이고, 최
장 만기는 제한이 없으나 최
소 30일 이상이어야 한다. 가
입자의 명의가 기재되지 않
는 무기명식으로 발행되고, 
액면 금액보다 할인되어 발
행되는 방식으로 이자가 계
산된다. 단, 고객이 요청하는 
경우 등록·발행할 수 있으
며, 은행의 경우 실물증서는 
발행하지 않고 통장을 교부
한다. 중도환매는 허용되지 
않고 대신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있어 유통시장에서 매매
가 가능하다.

6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6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주택청약종합저축

정기적금은 누구에게나 허용되는 반면

에, 근로자의 주택마련이나 재산형성 등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계층

에게만  가입을  허용하면서  각종  혜택이 

주어지는 목적형 정기적금도 있다. 대표

적으로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재산형성저

축을 들 수 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신규분양 아파트 

청약에 필요한 저축으로서 기존의 청약저

축, 청약부금, 청약예금의 기능을 묶어 놓은 것으로, 전 금융회사를 통해 

1인1계

좌만 개설 가능하다. 가입은 주택소유·세대주 여부, 연령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가능하나, 청약 자격은 만 

19세 이상이어야 하고 19세 미만인 경우는 세대주만 

가능하다. 수도권의 경우 가입 후 

1년이 지나면 1순위가 되며, 수도권 외의 지역

은 

6~12개월 범위에서 시·도지사가 정하는 기간이 지나면 1순위가 된다. 

납입 방식은 일정액 적립식과 예치식을 병행하여 매월 

2만원 이상 50만원 이내

에서 

5,000원 단위로 자유롭게 불입할 수 있으며, 잔액이 1,500만원 미만인 경우 

월 

50만원을 초과하여 잔액 1,500만원까지 일시 예치가 가능하고, 잔액이 1,500

만원 이상인 경우는 월 

50만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다. 청약대상은 국

민주택의 경우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 세대의 구성원으로서 

1세대당 1주

택, 민영주택의 경우는 지역별 청약가능 예치금을 기준으로 

1인당 1주택 청약이 

가능하다. 그리고 총 급여 

7천만원 이하 근로소득자로서 무주택 세대주인 경우는 

최대 연 

240만원의 40%인 96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표 3-7

  지역별 청약가능 예치금 

희망주택(전용면적 기준)

서울·부산

기타 광역시

기타 시·군

85m

2 이하

300만원

250만원

200만원

102m

2 이하

600만원

400만원

300만원

102m

2 초과 135m2 이하

1,000만원

700만원

400만원

135m

2 초과

1,500만원

1,000만원

500만원

67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7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재산형성저축(재형저축)

재산형성저축은 재정과 세제의 지원을 통해 서민의 저축을 장려하고 재산형성

을 지원하기 위한 저축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근

로자재산형성저축이 있었으나 재원 고갈로 폐지되었다가 

2013년 재산형성저축이

란 명칭으로 일부 내용이 수정되면서 재도입되었다. 새로 도입된 재형저축은 적

금, 펀드, 보험 등 모든 금융회사가 취급할 수 있는 적립식 금융상품으로 총 급여 

5,000만원 이하의 근로자와 소득 3,500만원 이하의 사업자가 가입 가능하다. 가

입자의 소득 요건은 가입 시점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하되, 가입 이후 소득이 

증가해 가입 요건에서 벗어나더라도 처음 가입 시점의 혜택이 지속된다. 가입자

는 분기별로 

1만원~300만원(연간 1,20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하고, 주

요 혜택으로는 

7년 이상(최장 10년) 유지 시 이자 및 배당에 대한 소득세가 면제되

나, 중도해지하면 비과세 혜택을 볼 수 없다.

4

저축상품 선택시 고려사항 

저축상품을 선택할 때에는 저축상품의 특성과 거래할 금융회사와의 거래 편리

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다음과 같은 정보는 가볍게 

생각하고 지나치기 쉽지만 저축상품 선택이나 향후 거래시 참고하면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주거래은행 정하기

예금액, 대출액, 신용카드 사용액 등 해당 은행과의 거래실적은 고객에 대한 

은행의 평가를 높이는 주요 요소로서 예금, 대출, 신용카드 등을 한 은행에 집중

하여 거래하면 고객에 대한 은행의 평가가 좋아져 금리 우대, 수수료 면제 등 각

종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금우대 활용하기

2015년 이전에 있던 세금우대저축은 모두 폐지되었으나, 2016년에는 새로운 

비과세종합저축상품이 생겼다. 비과세종합저축(이자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면

6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8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제)

의 가입대상은 만 

61세 이상(2015년 기준이며 2019년까지 매년 단계적으로 1년씩 상향하

여 

65세로 조정될 예정)

이며, 가입할 수 있는 한도는 전 금융회사를 합산하여 

1인당  

5천만원으로 본인의 잔여한도는 거래은행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기된 예·적금 바로찾기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의 약정금리는 원칙적으로 가입시부터 만기까지만 적용

되며, 만기일 이후부터는 약정금리에 훨씬 못 미치는 만기후 금리가 적용된다. 예

를 들어 약정금리가 

3%인 정기예금은 만기까지는 3%가 적용되는 반면, 만기일 

이후부터는 금융회사에서 고시한 금리(예: 보통예금이자 1% 등)가 적용된다. 따라서 

만기가 된 정기 예·적금을 그대로 둘 경우 정상적인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기 예·적금이 만기에 도달하면 새로운 예금에 가입

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예금금리 변동내역 통보서비스 활용하기

은행에서는 정기 예·적금의 예금금리 변동시 그 변동내역을 고객에게 문자메

시지나 이메일 등을 통해 통보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금금리 변동내

역 통보서비스는 변동금리부 정기 예·적금을 가입할 때 또는 가입한 후 언제든

지 은행에 신청하면 받을 수 있다.

자동화기기 이용하기

보통예금에서 현금을 인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창구를 이용할 때 수수료가 가

장 높고, 인터넷뱅킹이나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때 수수료가 낮다. 또한 은행별로 

수수료 금액에 차이가 있으므로 은행별 수수료를 비교하여 저렴한 은행을 이용할 

수 있다. 은행별 수수료는 은행연합회 은행수수료 비교 코너를 통해 확인할 수 있

다. 한편 은행에 따라 급여이체, 휴대폰 요금 이체 등 우대조건에 해당할 때 수수

료를 면제해주는 상품(보통예금)이 있으며, 주거래은행을 만드는 것도 한 방법이다.

엉뚱한 계좌로 송금한 경우

간혹 계좌번호를 잘못 입력하는 등 착오로 엉뚱한 계좌에 송금하거나 이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일방적으로 거래를 취소할 수는 없다. 대신 신속하게 이체를 

69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69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실행한 은행에 잘못 송금된 사실을 알려 수취은행 및 수취인에게 동 사실을 전달

하도록 한 후 상대방의 반환을 기다려야 한다. 만약 상대방이 반환을 거부하는 경

우 소송(부당이득반환 청구)을 제기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대방이 잘못 송금된 돈을 

반환하지 않거나 임의로 사용하면 ‘부당이득 반환소송’에 따른 소송비용을 부담하

게 되거나 형법상 ‘횡령죄’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대법원에서 2005년 

10월 28일 선고된 2005도5975 판결 참조)

.

예금자보호제도

04

SECTION

기업과 마찬가지로 금융회사도 도산할 수 있다. 금융회사가 도산할 조짐이 보

이면 뱅크런이라고 불리우는 예금인출쇄도(bank-run)가 나타나고, 그 결과 금융시

스템 전체가 붕괴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한다.

그러나 개별 예금자들은 거래하는 금융회사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기 어

려우므로 예금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 같은 취지에서 만

든 사회적 안전망이 바로 예금보험제도(deposit insurance system)이다. 예금보험제도

는 예금보험기관이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한 보험료를 미리 징

수해 두었다가 금융기관이 지급불능의 상태에 처했을 때 예금을 대신 지급해 주

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예금보험제도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회사가 지급 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대부분의 예금이나 보

험, 그리고 일부 투자금에 대해 

1인당 최고 5,000만원(세전)까지 예금보험공사에 

의해 대신 지급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금융상품을 선택할 때는 예금보험의 대상

이 되는지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0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표 3-8

  예금자보호 대상 금융상품과 비보호 금융상품(2017.12. 현재) 

구분

보호금융상품

비보호 금융상품

은행

• 보통예금, 기업자유예금, 별단예금, 당좌예금 

등 요구불예금

• 정기예금, 저축예금, 주택청약예금, 표지어음 

등 저축성예금

• 정기적금, 주택청약부금, 상호부금 등 적립식

예금, 외화예금

• 원금이 보전되는 금전신탁 등
•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확정기여

형 퇴직연금 및 개인퇴직계좌 적립금 등

•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 금융투자상품(수익증권, 뮤추얼펀드, MMF 등)
• 특정금전신탁 등 실적배당형 신탁
• 은행 발행 채권 등
• 주택청약저축, 주택청약종합저축 등

증권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 금융상품 중 증권 등의 매수에 사용되지 않고, 

고객 계좌에 현금으로 남아 있는 금액

• 자기신용대주 담보금, 신용거래계좌 설정 보증

금, 신용공여 담보금 등의 현금 잔액

• 원금이 보전되는 금전신탁 등
•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확정기

여형 퇴직연금 및 개인퇴직계좌 적립금 등

• 금융투자상품(수익증권, 뮤추얼펀드, MMF 등)
• 선물·옵션 거래 예수금, 청약자 예수금, 제세금 

예수금, 유통금융대주담보금

• 환매조건부채권(RP), 증권회사 발생 채권
•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랩어카운트, 주가지수연

계증권(ELS), 주식워런트 증권(ELW) 등

보험

• 개인이 가입한 보험 계약, 퇴직보험
• 예금보호 대상 금융상품으로 운용되는 확정기

여형 퇴직연금 및 개인퇴직계좌적립금 등

• 원금이 보전되는 금전신탁 등

• 보험 계약자 및 보험료 납부자가 법인인 보험계약
• 보증보험 계약, 재보험 계약
• 변액보험 계약의 주계약 등

종금

• 발행어음, 표지어음, 어음관리계좌(CMA)

• 금융투자상품(수익증권, 뮤추얼펀드, MMF 등), 환

매조건부채권(RP), 양도성 예금증서(CD), 기업어
음(CP), 종금사 발행채권 등

상호저축은행

• 보통예금, 저축예금, 정기예금, 정기적금, 신용

부금, 표지어음 등

• 상호저축은행 중앙회 발행 자기앞수표 등

• 상호저축은행 발행 채권(후순위채권) 등

정부·지방자치단체(국·공립학교 포함),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부보금융회사가 가입한 금융 상품은 보호되
지 않는다. 예금자 보호제도에 관한 내용은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www.kdi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1588-0037)

71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1

2018-02-19   오전 11:14:03


background image

학습내용정리

S u m m a r y

예시문제

E x e r c i s e

01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02

 인플레이션과 세금은 저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03

 저축상품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고, 예금자보호제도의 기능에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시오.

   소득, 소비, 저축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합리적인 소비는 현재와 미래의 생활수준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경제행위이다. 

   이자의 계산방법은 단리와 복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복리는 운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원리금이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하므로 장기저축이 필요한 노후대비는 일찍 시작할수록 유리하다.

   인플레이션과 세금은 저축 원리금의 가치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저축상품은 예금이고, 예금은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정기예금, 정기적금, 주택청약종합저

축, 재형저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금자보호제도는 예금보험기관이 예금을 취급하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한 보험료를 미리 징수해 

두었다가 금융기관이 지급불능의 상태에 처했을 때 예금을 대신 지급해주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경

우 1인당 최고 5,000만원(세전)의 원리금까지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지급토록 하고 있다.

   저축상품을 선택할 때는 저축상품의 특성과 거래할 금융회사와의 거래 편리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주거래은행을 정하고, 세금우대상품을 활용하며, 만기된 예금이나 적금은 바로 찾

아야 한다.  

7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2

2018-02-19   오전 11:14:05


background image

금융투자의 이해

04

01 투자의 기초
02 주식 투자
03 채권 투자
04 증권 분석

73

3장 저축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3

2018-02-19   오전 11:14:10


background image

금융투자의 이해

본 장에서는 투자 수익률과 위험(risk) 등 투자에 대한 기초 개념을 학습하고, 금융투자상품 
매매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대표적인 투자상품인 주식과 채권의 거래방법 및 투자 가치 
분석방법을 정리해 본다.

 투자의 수익과 위험의 개념을 이해한다.
 투자수익률을 계산하고 레버리지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투자자정보 확인서 등을 통해 자신의 투자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주식과 채권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학습개요

학습목표

04

[비트코인, 경제혁명인가 투기광풍인가]

‘한방’ 심리에 묻지마 투자 러시…제2의 ‘튤립 버블’ 우려

(…이전 생략…)

비이성적 과열이 버블(거품)을 만들고 절정에 이르면 버블이 터지면서 공황을 맞는

다. 시대에 따라 투기대상만 바뀔 뿐 되풀이되는 시장실패(market failure)의 역사다. 

작금 논란 속의 ‘21세기판 튤립’ 후보는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대표하는 가상화폐다. 지

금 결말을 예단키는 어렵다. 가격 폭락의 우려와 성장 지속의 기대가 팽팽하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튤립 버블보다 비트코인 

버블이 더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비트코인은 결국 작동하지 않을 것이며 폭발하고 말 

것”이라는 경고다.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린 부테린도 최근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

서 가상화폐 열풍을 ‘버블’로 규정했다. 

지금 가상화폐 시장은 비이성적 과열이 넘실대는 투기장으로, 거품이 만들어졌을 

개연성이 짙은 게 사실이다. 가상화폐가 정확히 뭔지도 모르면서 가격 급등에 현혹돼 

투자에 나서는 이들이 허다하다. ‘묻지 마’ 투자행렬은 버블의 징조다. 버블은 마냥 지

속할 수 없다. 언젠가는 꺼진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케네

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지난 9일 언론 기고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폭락할 것(the 

price of Bitcoin will collapse)이라는 게 내 최선의 추론(best guess)”이라고 밝혔다. 

(…중략…) 

C

H

A

P

T

E

R

생각

열기

7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4

2018-02-19   오전 11:14:11


background image

 그렇다면 가상화폐는 버블 붕괴 뒤 한낱 꽃으로 돌아간 튤립의 운명을 따를 것인

가.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위험한 것은 언제 다시 폭락할지 모를 가격이지 가상화폐 

자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튤립과는 다르다. 확장성이 작지 않다”

고 말했다. 차 국장도 “기존화폐를 대체하기는 어렵겠지만 가상화폐를 활용한 거래는 

분명히 늘 것”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 가격에 대해 ‘버블’이라고 지적한 로고프 교수도 

“장기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번성하겠지만…”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 가상화폐

의 미래에 대한 낙관론은 여기서 나온다.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을 연결하는 사물인

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시대에 그 쓰임새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비탈린 부테린

은 가상화폐 버블론을 펴면서도 “이더리움은 단지 화폐가 아니라 플랫폼, 산업 윤활유”

라며 “가상화폐가 은행을 대체할 것”이라고까지 말했다. (이하 생략)

[세계일보,  2017.10.17, 류순열 선임기자]

 투자와 투기의 차이는 무엇인가?
 개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투자의 가치와 사회적 관점에서의 투자의 가치는 다른가?

투자의 기초

01

SECTION

1

투자의 가치

투자란 미래에 긍정적인 이익이 발생하길 바라며, 불확실성을 무릅쓰고 경제

적 가치가 있는 자산을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가 고착

화되기 시작하면서 낮은 수익률을 보이는 저축보다는 어느 정도 리스크를 감당하

더라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투자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

우도 

2000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는 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평균 12% 전후였으

나,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1%대로 떨어졌다. 이러한 저금리는 저축을 통해 

목돈을 모으는 것을 어렵게 하고, 모은 돈으로 노후생활을 유지하는 것을 힘들게 

75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5

2018-02-19   오전 11:14:11


background image

만든다. 이 때문에 자금운용 수익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개인들도 투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투자와 투기

투자는 개인이 자산을 다양하게 운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일종

의 금융적 도구이다. 개인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상품을 합리적으로 활용

튤립은 중세 터키의 사원이나 

궁정에서 재배되었으며, 꽃 모양

이 터번과 비슷하여 “터번 꽃”이

라는 의미로 유럽에서는 “튤립”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런데 17세기 네덜란드 사

람들에게는 튤립이 그냥 아름

답고 평범한 꽃은 아니었다. 17

세기 네덜란드인들은 꽃의 색깔

에 따라 튤립을 다양하게 분류

했는데 최상급 꽃은 잎에 황실

을 상징하는 붉은 줄무늬가 있어 ‘황제’라고 불렀고, 이어 ‘총독’과 ‘제독’, ‘장군’순으로 이

름을 붙였다. 1634년 당시 황제 튤립은 암스테르담 시내의 집 한 채 값과 맞먹는 1,200

플로린(florin, 당시의 금화)에 거래되었다. 튤립은 조그마한 텃밭에서도 재배할 수 있었고, 

꽃이 활짝 필 때까지 무늬와 색깔을 아무도 예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일확천금

을 노리고 튤립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그 결과 튤립 가격은 거침없이 올라갔고, 1635년 

‘Semper Augustus’라는 희귀종 튤립 한송이가 6,000플로린이라는 최고가에 매매되었다. 

이 금액은 당시 네덜란드 사람의 평균 연간 수입 150플로린의 40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액수이다.

그러나 튤립에 대한 네덜란드인의 뜨거운 열정은 오래가지 못했다. 더 비싼 가격으로 

튤립을 구입할 만한 새로운 사람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튤립은 평범한 식물 하나에 지나

지 않기 때문이다. 마침내 1637년 2월 3일 튤립시장이 무너졌다. 튤립 거래의 중심지였던 

하를렘에는 더 이상 튤립을 살 사람이 없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매매는 이루어지지 않았

고 튤립의 가격은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에게 장밋빛 미래를 약속했던 튤립

은 더 이상 희망의 상징이 아니라 재앙의 근원이 되었다.

들여다보기

투기와 튤립

1634년

1636년

1635년

1637년

(튤립
가격)

7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6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할 때, 투자는 그 가치를 발현한다. 이러한 개인의 합리적인 투자 선택은 자금이 

필요한 사회 곳곳에 적절히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경제 및 사회의 발전

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과도한 이익을 목표로 비합리적인 자금 운용을 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행위를 투기라고 부르며 건전한 투자와 구별한다. 투기란 요

행을 바라고 과도한 리스크를 떠안으면서 비교적 단기간에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

는 경우를 말하는데, 개인과 가계의 재정을 커다란 위험에 빠뜨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와 사회에도 큰 해악을 미칠 수 있다. 투기는 경제활동을 위한 

정상적인 자금의 흐름을 방해하며, 경제 곳곳에 가격 거품을 형성하여 사회의 경

제적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올바른 투자자라면 개인의 자산 증식에만 몰두할 것

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투자

의 결과까지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

투자 수익률

수익률이란?

투자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률은 아래의 식을 이용해 구할 수 있다. 먼저 매도

금액에서 매입금액을 뺀 매매차익에 투자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흐름을 합산 또는 

차감한다. 그런 다음 이 값을 매입금액으로 나누고 

100을 곱해서 %로 환산하여 

구한다.

수익률 = 

매도금액-매입금액±보유기간 중 현금흐름

매입금액

 × 

100

    3 

 10,000 

 

 

 10,900 

 

   

 

 200 

 

, 3

 

 

 

?

10,900 − 10,000 + 200

10,000

   100 = 11%

,  11%.

77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7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그러나 이렇게 구한 수익률은 투자기간이 서로 다른 경우 비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상 

1년을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기간 수

익률을 연 수익률로 바꾸어주는 연율화(annualization)를 한다. 연율화 과정에서도 

재투자를 가정한 복리를 적용해서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면, 

3개월 동

안 

11%의 수익률을 연율화할 때, 1년이 3개월의 4배이므로 보통은 11%의 4배

인 

44%를 연율로 간주하는데, 이는 복리를 무시한 계산 방법이다. 매 3개월마다 

11%의 수익률로 계속 재투자된다고 가정하면, 복리 계산법에 의해 (1+ 0.11)

4 - 1 

0.5181, 즉 51.81%가 된다.

수익률 계산시 고려할 사항

수익은 이를 획득하기 위해 발생한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 명시적 비용으

로서 거래비용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증권거래시 증권회사에 지급하는 거래수

수료나 부동산거래에서 중개업자에게 지급하는 중개수수료 등이 거래비용에 속

한다. 결국 거래비용을 제외한 나머지가 실질적인 투자수익이 되기 때문에 거래

횟수가 빈번할수록 비용 대비 수익은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장기투자가 유리한 

이유가 된다.

또한, 저축 또는 투자를 통해 발생한 수익률에 과세가 되는 경우 세금을 제외

한 나머지가 실질적인 수익이 된다. 따라서 세전(before-tax) 수익률과 세후(after-

tax)

 수익률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거래비용 및 세금과 같이 명시적으로 정해져 있는 비용 외에도 암묵적으로 발

생하는 비용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을 들 수 있

다. 어떤 행위를 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다른 기회의 가치를 의미하는 기회비용

은 투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투자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

였다면 명시적으로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분명히 기회비용이 발생한 것이다. 또

한, 투자를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

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수집 비용도 암묵적 비용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처럼 투

자에 수반되는 기회비용 및 정보비용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로 직접투자 대신에 

펀드, 위탁매매와 같은 간접투자를 이용하기도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투자결정

을 대신 해주는 대가로 운용보수와 같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7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8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3

투자의 위험(risk)

우리는 실생활에서 리스크(risk)라는 말을 자주 접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

지 못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아마도 영어 ‘

risk’에 대한 우리말 번

역을 ‘위험’으로 표현하기 때문인 것 같다. 사실 우리말 ‘위험’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며 영어로는 ‘

danger’에 더 가깝다. 영어로는 ‘risk’와 ‘danger’가 서로 다른 

의미인데 우리말에서는 둘 다 ‘위험’으로 번역하기 때문에 리스크의 정확한 의미

가 왜곡되고 있는 것 같다.

리스크(risk)란 불확실성에 노출(exposure to uncertainty)된 정도를 의미하며 부정

적 상황 외에 긍정적 가능성도 내포하게 된다. 특히, 금융에서 많이 사용되는 리

스크는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 노출된 상태로서 미래 결과에 따라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부정적인 결과만 있는 위험(danger)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출 기업의 경우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상황을 

가리켜 환리스크(risk)가 있다고 하고, 이 기업은 이후 환율이 상승하면 결과적으

로 유리하고 하락하면 불리해진다.

수익률과 리스크의 관계

확정된 수익률이 보장되는 저축과 달리, 투자의 경우는 앞으로 어떤 결과가 발

생할지 모르는 불확실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리스크가 수반된다. 리스크가 크다

는 것은 투자 결과의 변동 폭이 크다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리스크가 클수록 기대

수익률도 높다. 이런 투자의 특성을 ‘

high risk high return(고수익 고위험)’이라고 한

다. 기대수익률(expected return)이란 사전에 예측하는 수익률을 의미하므로, 실제 

투자 결과로 발생하는 사후적 수익률, 즉 실현 수익률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

서 리스크가 큰 투자가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고 이해해서는 절대 안 되며, 기대

수익률이 높아야만 투자자들이 기꺼이 리스크를 감당하여 투자를 하게 된다는 의

미이다. 

예를 들어, 안전한 저축 대신에 주식투자를 선택하는 투자자는 저축 이자율보

다는 높은 수익을 기대하고 주식투자를 선택한 것이지만, 주식투자 결과 이자율

보다 높은 수익을 얻는다는 보장은 없다. 결과적으로 주식투자를 통해 큰 수익을 

얻을 수도 있고 아니면 큰 손실을 입을 수도 있는 것이고, 그중 어떤 결과가 발생

79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79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할지를 투자 시점에서는 알 수 없다는 것이 바로 리스크인 것이다.

 보통 리스크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의 수익률을 무위험 수익률(risk-free rate of 

return)

이라고 하고, 리스크에 대한 보상으로 증가하는 기대수익률 부분을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이라고 한다. 투자의 기대수익률은 무위험 수익률에 리스크 

프리미엄을 합한 값이다.1

 그리고 투자자는 각자의 투자목적과 리스크 선호도에 따라 높은 수익을 기대

하면서 리스크를 감당할 것인지 아니면 낮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선택할지를 결정

하면 된다. 결국, 안정성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리스크가 적은 저축의 비중을 높이

고,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면 리스크를 떠안고 투자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기대수익률 = 무위험 수익률 + 리스크 프리미엄

투자위험의 관리와 분산투자

투자의 본래적 속성에 리스크가 포함된다고 해서, 손실 위험에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은 채 무방비 상태로 투자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투자 위험 관리 방

법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자산배분을 통한 분산투자이다. “모든 달걀을 한 바

구니에 담지 말라”는 표현으로 분산투자를 강조하는 말을 자주 듣는다. 투자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자산, 즉 포트폴리오(portfolio)를 구성하여 투자할 것을 권고하

는 말이다. 포트폴리오란 여러 가지의 모음을 의미하는데, 특히 금융에서는 여러 

가지 자산으로 구성된 집합체를 가리킨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게 되면 여러 금

융상품이나 자산에 돈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발생하여 리스크가 감소한다. 예를 

들어, 우산 가게와 아이스크림 가게가 각각 있다고 하면 두 가게는 날씨에 따라 

매출액의 변동성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즉, 각각의 가게는 변동성을 나타내는 

리스크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같은 가게에서 우산과 아이스크림을 함께 

판매한다면 날씨에 따른 총매출액의 변동폭은 크게 감소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개

별자산별로 보면 상당한 리스크가 있더라도 여러 가지 개별자산에 나누어 투자하

게 되면 전체 리스크, 즉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는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분산투자를 한다고 해서 모든 위험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투

자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따라 위험의 종류를 크게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

금융시장에서는 무위험 수익
률로 정부가 발행한 단기 국채
의 수익률을 주로 사용한다.

80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0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적 위험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체계적 위험은 분산투자를 하더라도 그 크기를 줄

일 수 없다. 체계적 위험은 세계 경제위기나 천재지변, 전쟁 등과 같이 모든 자산

이나 투자 대상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을 의미한다. 반면 비체계적 위험은 

경영자의 횡령, 산업재해, 근로자의 파업 등 특정 기업이나 산업의 가치에만 고

유하게 미치는 위험으로 자산을 분산함으로써 회피하거나 그 크기를 상쇄시킬 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와 투자위험

분산투자와 같이 투자위험을 줄이는 전략도 있지만 기대수익률을 더욱 높이

기 위해 투자위험을 오히려 늘리는 전략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레버리지

(

leverage)

 투자이다. 영어로 ‘

leverage’란 지렛대를 의미한다. 누구나 아는 바와 같

이 지렛대를 이용하면 실제 힘보다 몇 배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다. 금융에

서는 실제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렛대에 

비유하여 레버리지로 표현한다.

투자에 있어 가격변동률보다 몇 배 많은 투자수익률이 발생하려면, 즉 레버

리지 효과가 발생하려면 투자액의 일부를 자신의 자본이 아닌 부채로 조달하여

야 한다. 예를 들어, 자신의 자금 

100만원으로 10,000원인 주식을 100주 매입한 

뒤 주가가 

20% 상승한 12,000원에 매도하였다면 거래비용은 무시하고 자기 자금 

100만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주가변동률과 같은 20%가 될 것이다. 그러나 투자

그림 4-1   분산투자와 투자위험

위험의 크기

투자 대상의 수

비체계적 위험

체계적 위험

81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1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자금 

100만원 중에서 60%인 60만원은 대출자금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40만원만 

자신의 자금이라고 가정하면 투자수익률은 

20%의 2.5배인 50%로 크게 높아진다. 

발생한 총수익은 

20만원으로 동일하지만 투자에 사용한 자기자금은 40만원밖에 

안되기 때문이다(50%=20만원/40만원×100%). 물론 거래비용과 대출이자 등을 감안

한다면 수익률이 좀 더 줄어들 것이다.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논리가 성립한다. 위의 예에서 만일 주가가 

10,000원에서 9,000원으로 10% 하락했다고 가정하면, 자기 자금 40만원에 대출

자금 

60만원을 보태서 투자한 경우 총투자액 100만원에 대한 손실액은 10만원이

고 따라서 자기 자금 

40만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25%가 되어 실제 가격변동률 

-

10%의 2.5배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투자의 레버리지는 총투자액 중 부채의 

비중이 커지면(동일한 의미로, 자기자본의 비중이 작아지면) 증가하게 된다.2 다음 공식에 

따라 투자의 레버리지를 계산하면 된다.

투자 레버리지 = 총 투자액 / 자기자본

앞의 예시를 공식에 대입해보자. 총 투자액 

100만원 중 40%인 40만원만 자기

자본으로 사용하여 투자를 했기 때문에 레버리지는 

2.5배(=100만원/40만원)로서 실

제 주가가 

20% 상승해도 실제 투자수익률은 2.5배인 50%가 되고 10% 하락해도 

투자수익률은 

2.5배인 -25%가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레버리지는 손익을 확대시켜 수익률이 양(+)일 경우에는 이익의 폭

이 증가되지만 반대로 실제 수익률이 음(-)이 되면 손실의 폭도 확대된다. 결국 

레버리지가 커질수록 투자수익률은 가격변동률의 몇 배로 증가하여 리스크가 커

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레버리지를 ‘양날의 칼’에 비유하기도 한다.

레버리지는 부채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기업이 부채 없

이 자기자본만으로 사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재무적으로도 적절하지 

못한 전략이다. 따라서 기업의 경우 감내할 만한 수준 이내에서 적절한 부채를 사

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3 그러나 개인이 부채를 사용하여 레버리지가 높은 투자

를 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특히 주식과 같이 리스크가 높은 투자에서 

레버리지를 통해 리스크를 더욱 확대한다는 것은 건전한 투자를 넘어 사실상 투

기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투자는 부채 없이 여유자금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부채를 많이 사용할수록 투
자의 레버리지 효과가 커지
는 현상을 감안하여 실제 현
실에서는 레버리지가 부채를 
대신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를 ‘레
버리지를 일으킨다’라고 언
급하거나, 부채가 많은 기업
을 ‘레버리지가 높은 기업’으
로 표현하기도 한다.

기업재무에 있어 적절한 부
채 규모에 관한 논의는 재무
구조(capital structure) 정책에
서 설명할 부분이나, 본서의 
범주에서 벗어나므로 생략 
한다.

82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2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또한 레버리지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 부채에는 이자부담이 수반된다는 점도 기억

해야 한다.

4

금융투자상품 투자 과정

금융투자상품은 위험성이 있는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투자가 이루어

져야 한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서는 금융투자

자를 전문투자자와 일반투자자로 나누고 있는데, 일반투자자란 쉽게 말해 전문적

인 금융지식을 보유하지 않은 개인이나 기업으로, 일반투자자에게 금융투자상품

을 판매할 경우 여러 투자 권유 준칙을 지키며 판매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금융투자상품은 

복잡한 구조를 통해 수익의 기회를 만들기도 하지만, 해당 상품에 내재된 투자위

험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상당한 주의

가 필요하다.

표준투자권유준칙

표준투자권유준칙은 금융투자상품의 판매자인 금융회사 입장에서 지켜야 할 

기준과 절차이다. 금융투자상품의 구매자인 투자자도 숙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내용을 정리해보자.

“투자위험을 확대하는 레버리지 투자를 많이들 할까?” 생각하지만 우리나라의 전세제

도를 이용한 레버리지 투자가 부동산 쪽에서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5억원인 아

파트를 4억원의 전세를 끼고 자기자본 1억원으로 매입하는 경우인데, 이때 투자 레버리지

는 5배(=5억원/1억원)가 된다. 만약 집값이 30% 상승하여 6억 5천만원이 되면 자기자본 

1억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은 실제 집갑의 상승률인 30%의 5배인 150%가 되고, 만일 집값

이 30% 하락하여 3억 5천만원이 되면 투자수익률은 손실률인 -30%의 5배인 -150%가 

된다. 이렇게 되면, 부채나 마찬가지인 전셋값 4억보다 집값이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실

제 주택의 가치보다 부채인 전셋값이 더 높은 경우를 ‘깡통전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들여다보기

레버리지와 깡통전세

83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3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투자상품의 매입과정을 표준투자권유준칙에 따라 단계별로 확인해보면 먼저 

금융회사는 투자자의 방문 목적을 파악하고, 투자를 희망할 경우 일반투자자인지 

혹은 전문투자자인지 구분한다. 전문투자자는 국가, 한국은행, 은행, 증권회사 

등 자본시장법에서 구체적으로 나열하고 있으며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투자자이다. 다음은 투자자 정보에 근거한 투자권유를 희망하는지 확인한다. 

투자권유를 하기 위해서는 투자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판매자는 투자목적, 

재산상황, 투자경험 등의 투자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투자자 정보 확인서를 

이용한다. 투자자 정보 확인서는 기초정보를 수집하는 부분과 위험선호도를 파악

하는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 금융회사는 파악한 투자자 정보에 근거하여 투자자의 유형을 분류하

고, 그에 알맞은 적합한 금융투자상품을 선정하여 추천한다. 금융회사는 추천한 

투자상품의 중요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므로, 해당 상품의 투자설

그림 4-2   표준투자권유준칙상의 프로세스

방문 목적 확인

일반투자자와 전문투자자의 구분

투자권유 희망여부 파악

•투자자 정보파악

•투자권유 절차

•설명의무

•관련 서류의 교부 등

“투자권유 
비희망시”

투자권유 불원 확인서를 
작성하고 후속 금융상품  
판매절차 진행

“투자권유 희망시”

84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4

2018-02-19   오전 11:14:15


background image

명서나 상품소개서 등을 이용한 상담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들을 수 있다. 

충분한 설명을 들은 금융소비자는 최종적으로 구매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각

종 필요한 서명을 하고 반드시 교부받아야 하는 투자설명서 등을 전달받게 되는

데, 금융회사 직원에게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하더라도, 서명하는 내용을 꼼

꼼히 재확인하고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직원의 설명, 그리고 서명하는 서류의 내

용을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표준투자권유준칙에는 없지만, 금융소비자는 금융투자상품의 구매 

후, 정기적으로 상품의 성과, 현황 및 자신의 상황(자신의 가치관, 재정상황, 가족 등)

을 고려하여 계속 투자할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투자의 목표(목적)에 알맞은 수

단인지, 다른 대안은 없는지 등을 자신의 상황에 비추어 판단할 필요가 있다. 투

자는 한 번의 의사결정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투자를 하고 있는 동안은 매순간 

해당 투자상품을 구매하기로 결정한 것과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하겠다. 

아래의 표는 ‘표준투자권유준칙’에서 투자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투자자 유형을 분류하

기 위해 조사하는 항목이다. 각 내용에 체크하여 자신은 어떤 투자자로 분류될지 확인해 

보자. 

들여다보기

나는 어떤 투자자일까? 

문항

배점

1.  고객님의 연령대는 어

떻게 되십니까?

□ 19세 이하

□ 20세 ~ 40세

□ 41세 ~ 50세

□ 51세 ~ 60세

□ 61세 이상

1~4

2.  고객님께서 투자하고

자 하는 자금의 투자 가
능 기간은 얼마나 되십
니까?

□ 6개월 미만

□ 6개월 이상 ~ 1년 미만

□ 1년 이상 ~ 2년 미만

□ 2년 이상 ~ 3년 미만

□ 3년 이상

1~5

3.  다음 중 고객님의 투자

경험과 가장 가까운 금
융상품은 어느 것입니
까? (중복응답 가능)

□ 은행 예·적금, 국채, 지방채, 보증채, MMF, CMA 등

□  금융채, 신용도가 높은 회사채, 채권형펀드, 원금보장형 

ELS 등

□  신용도 중간 등급의 회사채, 원금의 일부만 보장되는 

ELS, 혼합형 펀드 등

□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 주식,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ELS, 

시장수익율 수준의 수익을 추구하는 주식형펀드 등

□  ELW, 선물옵션, 시장수익율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는 주

식형펀드, 파생상품펀드, 주식 신용거래 등

1~5

85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5

2018-02-19   오전 11:14:16


background image

각자 위의 투자자 정보를 실제로 한 번 확인해보도록 한다. 이 투자자 정보 확인서는 항목

별로 배점이 있으며, 배점을 합계하여 투자성향을 5단계로 분류한다. 문항별 배점은 다음

과 같다.

○  1번 :  ① 또는 ②로 응답한 경우 4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3점, ④로 응답한 경우 2점, 

⑤로 응답한 경우 1점

○  2번 :  ①로 응답한 경우 1점, ②로 응답한 경우 2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3점, ④로 응

답한 경우 4점, ⑤로 응답한 경우 5점

○  3번 :  ①로 응답한 경우 1점, ②로 응답한 경우 2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3점, ④로 응

답한 경우 4점, ⑤로 응답한 경우 5점 (중복응답한 경우 가장 높은 점수로 배점)

○  4번 :  ①로 응답한 경우 1점, ②로 응답한 경우 2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3점, ④로 응

답한 경우 4점

○  5번 :  ①로 응답한 경우 5점, ②로 응답한 경우 4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3점, ④로 응

답한 경우 2점, ⑤로 응답한 경우 1점

○  6번 :  ①로 응답한 경우 3점, ②로 응답한 경우 2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1점

○  7번 :  ①로 응답한 경우 -2점, ②로 응답한 경우 2점, ③으로 응답한 경우 4점, ④로 응

답한 경우 6점

4.  고객님께서는 금융상

품 투자에 대한 본인의 
지식수준이 어느 정도
라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낮은 수준 
    :  투자의사결정을 스스로 내려본 경험이 없는 정도
□  낮은 수준 
    : 주식과 채권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정도
□  높은 수준 
     :  투자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금융상품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정도

□ 매우 높은 수준 
     :  금융상품을 비롯하여 모든 투자대상 상품의 차이를 이

해할 수 있는 정도

1~4

5.  고객님께서 투자하고

자 하는 자금은 고객님
의 전체 금융자산(부동
산 등을 제외) 중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
니까?

□ 10% 이하

□ 10% 초과 ~ 20% 이하

□ 20% 초과 ~ 30% 이하

□ 30% 초과 ~ 40% 이하

□ 40% 초과

1~5

6.  다음 중 고객님의 수입

원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입니까?

□  현재 일정한 수입이 발생하고 있으며, 향후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일정한 수입이 발생하고 있으나, 향후 감소하거나 불

안정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일정한 수입이 없으며, 연금이 주 수입원임

1~3

7.  고객님의 투자원금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다
음 중 고객님이 감내할 
수 있는 손실 수준은 
어느 수준입니까?

□  무슨 일이 있어도 투자 원금은 보전되어야 한다.

□  투자원금에서 최소한의 손실만을 감수할 수 있다.

□  투자원금 중 일부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다.

□  기대수익이 높다면 위험이 높아도 상관하지 않겠다.

-2~6

86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6

2018-02-19   오전 11:14:16


background image

1번부터 7번까지의 응답결과에 따른 점수를 합산(총점 32점)하고 이를 100점으로 환산하

는데 예를 들어 1번부터 7번까지의 합이 26점이라면 (26점/32점)×100=81.3점과 같이 계

산한다. 이러한 점수결과에 따라 자신의 투자성향을 다음과 같이 5단계로 파악할 수 있다.

• 20점이하 : 안정형 

• 20점초과 ~ 40점이하 : 안정추구형   

• 40점초과 ~ 60점이하 : 위험중립형 

• 60점초과 ~ 80점이하 : 적극투자형   

• 80점초과 : 공격투자형 

주식 투자

02

SECTION

금융상품은 원금손실의 위험성에 따라 금융투자상품과 비금융투자상품으로 구

분할 수 있고, 금융투자상품에는 증권과 파생상품이 있다. 증권으로 주식, 채권, 

펀드 등이 있는데, 법에서는 이를 각각 지분증권, 채무증권, 수익증권 등으로 부

르고 있다. 본 장에서는 대표적인 투자상품인 주식과 채권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

고자 한다. 

1

주식의 개념

주식이란 주식회사4가 발행한 출자증권으로서 주식회사는 주주들에게 자본금 

명목으로 돈을 받고 그 대가로 주식을 발행한다. 주식을 보유한 주주는 주식 보유

수에 따라 회사의 순이익과 순자산에 대한 지분청구권을 갖는데, 만약 회사에 순

이익이 발생하면 ‘내 몫을 주시오’ 할 수 있는 이익배당청구권이 생기며 혹시 회

사가 망하는 경우에는 남은 재산 중 ‘내 몫을 주시오’ 할 수 있는 잔여재산 분배청

구권이 생긴다. 또한 회사가 유상 또는 무상으로 신주를 발행할 경우 우선적으

4  주식회사

상법을 보면 회사에는 합명
회사, 합자회사, 유한책임회
사, 유한회사, 주식회사 등 다
양하지만 주식을 발행할 수 
있는 회사는 주식회사가 유
일하다. 

87

4장 금융투자의 이해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01~04장ok.indd   87

2018-02-19   오전 11:14:16


background image

로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 등도 갖게 된다. 주주는 주주평등의 원칙

에 따라 주주가 갖는 주식 수에 따라 평등하게 취급되므로 보유한 주식 지분만큼

의 권리와 책임을 갖게 된다. 

주식회사 주주는 유한책임을 원칙으로 하므로 출자한 자본액의 한도 내에서만 

경제적 책임을 지게 된다. 따라서 출자한 회사가 파산하여 갚아야 할 부채가 주주 

지분 이상이 되더라도 주주는 지분가치를 초과한 부채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

주주가 출자한 회사에 대한 권리는 크게 자신의 이익을 위한 자익권과 회사 

전체의 이익과 관련된 공익권으로 나뉜다. 앞에서 설명한 이익배당청구권이나 

잔여재산 분배청구권, 신주인수권 등은 자익권에 속한다. 한편, 주주의 공익권

으로는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 등 주요 안건에 대한 의결에 지분 수에 비례하

여 참여할 수 있는 의결권, 회계장부와 관련된 주요 정보의 열람을 청구할 수 있

는 회계장부 열람청구권, 이미 선임된 이사를 임기 전이라도 일정 수 이상의 주

주의 동의를 얻어 해임을 요구할 수 있는 이사해임요구권, 그리고 일정 수 이상

의 주주 동의로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는 주주총회 소집요구권 등

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자익권과 공익권을 갖는 주식을  보통주(common stock)

라고  하고,  이러한  보통주와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갖는  주식으로 우선주

(

preferred stock)

라는 것이 있다. 우선주는 이익배당이나 잔여재산 분배에 관해 우

선적 지위가 인정된다. 즉, 보통주에 앞서 우선적으로 회사 이익에 대해 배당을 

받고, 회사가 청산될 경우에도 부채를 제외한 잔여재산에 대해서 보통주주보다 

우선적으로 분배를 받게 된다.  그러나 우선주는 보통주에 있는 의결권이 없다.  

한편, 주변에서 보는 모든 기업

의 주식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

은 아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

식은 엄격한 심사를 거쳐서 기본

적인 사업내용 및 재무상태가 우

량한 기업의 주식이다. 우리나라

에서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은 한

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

스닥시장이며 여기에서 거래되는 

주식 견본

88

대학생을 위한 실용금융